*최초 원본은 개인 블로그에 작성하였습니다.
저는 지금 성장성이 매우 높은 기업 위주로 투자 하고 있지만, 몇년 후 은퇴해도 될 정도로 돈이 모인다면, 미국 시장 지수보다 약간 더 높은 수익, 약간 더 낮은 하락을 목표로 포트폴리오를 구성 할 예정입니다.
그래서 미리 포트폴리오 구성 기준을 정리하여 지금 기준에서 은퇴할 때 포트폴리오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내용 전달 용이를 위하여 잠시 존대를 지우고 글을 적겠습니다.
1. 투자할 국가는 미국.
이전 글에서 적었다시피, 주식의 가격은 미래의 이익을 반영하기 때문에, 과거에 좋은 모습을 보였던 미국 기업의 성장이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미국을 투자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
그렇다면 미국 기업이 잘 나갈 수 있었던 이유에 대하여 나의 생각을 정리해 보면,
기축 통화국이기 때문이 가장 크다고 생각한다.
기축 통화국이 되기 위한 조건은 두가지다.
첫째, 미국 이외의 지격에서도 달러로 거래되는 등, 전세계에서 널리 달러에 대한 수요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미국은 적자를 겪어야 한다.
둘째, 보유하고 싶은 통화는 가치가 높은 통화이기 때문에, 신뢰를 얻기 위하여 미국은 흑자를 유지해야 한다.
이 두가지 딜레마를 유일하게 통화간 통화는 달러이고 그 이유는, 2차대전 이후 마셜플랜드로 유럽에 원조 하며, 사우디와 석유를 달러로만 거래하도록 협정을 맺어서 필연적인 달러의 수요를 만들었던 미국 정치 승리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기축 통화라는 것은 어떤 이득을 가지는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결과로만 본다면 기업이 쉽게 망하지 않을 환경을 만들 수 있는 것으로 수렴한다고 생각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기업과 국가의 성장은 투자를 통하여 이루어 진다.
그런데 투자를 결정할 때 기업가 들이 가장 좋아하는 환경은 무었일까?
우리나라를 예로 든다면, 환율이 낮아질 때 투자하기를 원할까? 환율이 올라갈 때 투자하기를 원할까?
일반적인 답변으로는 환율이 낮으면 수출 품목의 가격 경쟁력이 생기기 때문에, 환율이 내려갈 때 라고 할 수 있지만, 정답은 환율이 안정될 때 라고 생각한다.
환율이라고 적었지만 주위 외부 환경이 크게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된다면 기업은 더 먼 미래의 돈을 끌어와서 지금 투자할 수 있다.
그렇게 성장이 나오면 기업의 가치가 더 오르게 되고, 오른 기업가치를 담보로 더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아 성장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다시 돌아와서, 기축 통화를 가지게 된다면 경제 위기가 발생할 때, 안정적인 달러의 수요가 발생하여 자금이 외부로 나갈 걱정이 없고, 극단적으로 더 큰 위기가 온다면 양적 완화를 통하여 장기 금리를 낮춰 은행에 유동성을 공급하여 파산 위험을 낮춰주고, 기업의 부채 부담을 줄여줄 수 있음으로 인하여, 기업이 잘 망하지 않은 환경을 구성해 놓았기 때문에, 미국 기업은 다른 나라보다 훨씬 더 먼 미래의 가치를 담보로 현재 투자를 할 수 있고, 그 결과로써 만들어 낸 성장을 바탕으로 더 낮은 금리로 부담을 낮추는 효과는 기축 통화를 유지할 동안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정리해보자.
미국 기업의 주가가 오른 이유는 미국 기업의 실적이 올랐기 때문이고, 실적이 오른 이유는 기축통화를 가진 이점으로 인하여 안정적인 투자 환경을 확보 하였기 때문에, 더 먼 미래의 가치를 현재로 가져와서 투자할 수 있고 그로인하여 담보의 가치가 커지기 때문에 빌릴 수 있는 대출 금리가 낮아지는 순환이 반복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즉, 앞으로 기축통화의 지위가 바뀔 것이라 생각하면 투자 방향을 바꿔야 하겠지만, 현재까지는 위완화, 엔화, 유로화, 금, 비트코인 어떤 퉁화, 상품도 달러를 위협하기에는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내가 투자할 지역은 미국으로 결정하였다.
+단 예외적으로 일본 엔화를 낮은 비중으로 항상 보유하고 있다.
그 이유는 일본의 낮은 금리로 인하여 해외투자가 많이 발생하였는데, 위기 때마다 해외 자산을 팔고 일본으로 자금이 들어오는데 그 수요는 금융위기 때 미국 달러를 가볍게 즈려밟고 강세로 갈 정도이기 때문에, 아주 조금씩은 엔화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아래 그림은 미국 S&P500 기업의 06년도부터 현재 까지 기업 이익]
다음으로 기업을 선택할 것인데, 이 역시 투자 지역을 설정한 프로세스와 같다.
기업의 매출과 이익이 평탄하게 올라왔는가. 오로지 이 하나이다.
다음은 핀비즈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기업을 조건에 따라 분류할 수 있는 기능이다.
1. S&P 500 기업 안에서만 고르도록 만들었고,
2. 향후 이익 P/E는 50 이하(은퇴 이후를 위한 포트폴리오 인데 너무 공격적이긴 싫어서)
3. 지난 5년 평균 매출 성장이 5% 이상인 기업
4. 지난 5년 주당 순이익 성장이 5% 이상인 기업
5. 향후 5년 주당 순이익 성장이 5%라고 애널리스트가 판단하는 기업
저 기업들을 엑셀로 옮기면 아래와 같이 되는데,
노란색 음형 표시는, 과거 매출, 이익 성장이 우상향 한 기업(매우 조금 우상향 한 기업은 제외)
빨간색 표시는, 2018년 무역전쟁, 2020년 코로나, 2022 인플레이션 당시에, 매출과 이익 성장이 크게 하락하지 않은 기업을 표시해 보았다.
예시로 한가지 기업만 과거 실적을 검색해 보자면 BRO 기업을 검색해 보겠다.
[매출 성장]
[주당 순이익 성장]
이런 기업들만 모아보았고, 실제로 은퇴할 때에는 기업에 대하여 하나하나 분석해 볼 예정이지만, 지금은 그냥 선별한 기업들을 전부 투자하였다고 가정하고 백테스트를 돌려보겠다.
어떤 기준으로 은퇴할 지 정하진 않았지만, 현재 주식을 전부 처분하고 세금 처리를 끝내더라도 5억 이상이 있다는 가정에, 매달 300만원씩 뽑아서 생활비를 쓴다는 가정으로 하고, 리밸런싱은 매달 1번씩 해보았을 때, 미국 시장 지수 대비 어떤 모습일지 봐보자.
(25개 기업만 한번에 검색 가능해서 마지막 3기업은 임의로 제거하였고,
환율 계산이 귀찮아서 천원=1달러 로 치환하였다.
선별 기업 중 가장 최근 기업이 2015년 상장하였기 때문에, 2015년 부터 데이타만 확인 가능한다.)
결과는 위의 사진과 같다.
[S&P500 기업을 투자하였을 때]
총 투자 기간 : 9년
초기 투자 액 : 약 5억
MWRR(금액가중수익률) : 12.05%
최대 하락폭 : -23.95%
최종 수익금 : 8억 4천만원 (세금 미고려)
[단순 실적 선별 기업을 투자하였을 때]
총 투자 기간 : 9년
초기 투자 액 : 약 5억
MWRR(금액가중수익률) : 27.28%
최대 하락폭 : -23.70%
최종 수익금 : 34억 2천만원 (세금 미고려)
마지막으로 제가 이렇게 실적을 기반한 투자를 선호하는 이유는 마지막 사진의 가장 아래 표로 셜밍이 가능한데, 수익이 날 때는 시장 대비 많이 나오지만, 하락 할때는 시장과 비슷하거나 덜 하락하는 이유가 탄탄한 실적이 뒤받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장문의 글을 읽느라 감사드리고, 처음에 말했다 시피, 제가 현재 이렇게 투자한다는 것이 아니고 나중에 조금 안정적으로 투자 방식을 바꾸기 위하여 저의 투자 생각을 정리한 글이라고 생각해주시고, 너무나 당연하고 그럴 분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큰 생각 없이 따라 사시진 말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