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모바일 (밤모드 이용시)
댓글
l조회 81383l 12
많이 스크랩된 글이에요!
나도 스크랩하기 l 카카오톡 공유

영화 드라마 보는거랑 뭐가 다른 건지 모르겠음

독서가 능동적으로 사고하는 힘을 기르는 데에 영상매체보다 훨씬 더 나은 건 알고 있었어(다들 엄청 자세하게 알려줘서 더 잘 알게 됐음 고마워) 근데 내가 하는 말은 그런 쪽이 아님… 단순 재미로만 책 읽는 나한텐 책이나 영화나 그냥 똑같이 느껴지거든 그런데도 책 읽는다고 하면 대단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되게 많단 말이지? 그런 반응이나 프레임이 좀 부담스러웠던거임 그래서 책을 읽는다는게 그렇게 어렵고 대단한 일은 아닐 수 있다 라는 걸 말하고 싶었음 책도 책 나름이고 읽는 사람도 사람 나름이니까… 독서에 대한 환상을 깼으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쓴 거야!!!

기억에 남는 책들 써봤어 생각나는대로 계속 추가할게!

너희도 추천해줘

독서 왤케 올려치기해줌?? | 인스티즈

독서 왤케 올려치기해줌?? | 인스티즈

독서 왤케 올려치기해줌?? | 인스티즈

독서 왤케 올려치기해줌?? | 인스티즈

독서 왤케 올려치기해줌?? | 인스티즈

독서 왤케 올려치기해줌?? | 인스티즈

독서 왤케 올려치기해줌?? | 인스티즈

독서 왤케 올려치기해줌?? | 인스티즈

독서 왤케 올려치기해줌?? | 인스티즈

추천  12


 
   
123

삭제한 댓글   글쓴이가 고정함
(본인이 직접 삭제한 댓글입니다)
6일 전
익인249
문장을 봐도 문장을 이해못하는 애들 생각보다 많음
7일 전
익인250
이 글 초반 댓망진창 된 이유는 독서에 환상가지고 있는 사람이 너무 많아서 그런듯… 해 볼 수 있는 질문이고 충분히 들 수 있는 생각인디
7일 전
익인251
소설 까는 거 심하네 ㅋㅋㅋㅋㅋㅋ 난 오히려 자기계발서나 에세이 중에 유명한 사람꺼나 화술 관련된 거 말고는 쓰레기 많다고 생각하는데 ㅋㅋ 걍 완전 인스타 감성 글 모아놓은 것들
7일 전
익인279
22 나 에세이 진짜 싫어함ㅠ
7일 전
익인281
나도 자기계발서 너무 싫음 ㅋㅋ
6일 전
익인289
44
6일 전
익인327
55
6일 전
익인331
6666자기계발서, 에세이 한번도 사본적없음... 열어보면 다똑같아
6일 전
익인343
77 자기계발서 절대 안 읽음ㅋㅋㅋ 에세이는 좋은 것도 많지만
6일 전
익인355
88 시간 관리 효율적으로 하라는 얘기가 대부분인데 내가 몰라서 못하는게 아니에요
6일 전
익인356
99 에세이, 자기계발서 복불복 진짜 심함ㅠ 사유할거리도 별로 없고 자기계발서는 사용되는 단어와 주제도 거의 비슷함
소설을 왜 치는거지

6일 전
익인368
맞아 ㅋㅋ 그리고 독서로 어휘력 문해력 올리고싶으면 사실 소설을 보는게 더 맞지않낰ㅋㅋㅋㅋㅋㅋㅋ아님 논문 읽던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
6일 전
 
익인252
책이나 논문에서 당대의 지식인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직접 제시함 그러니까 책이나 논문이 가장 먼저 중요한 지식을 제시하는거임..영상은 그걸 읽고 한번 가공되어 나오는 경우가 많고 물론 영화나 다큐등도 일부는 그런기능을 하지만 책은 가장 출판하기 좋은 형태기때문에 아무래도 지식인들이 자기 생각을 직접 생생하게 가장 빠르게 전하기 좋음
7일 전
익인252
그리고 영상은 많이 본다고 내가 직접 영상을 만드는 사람은 별로 없지만 책은 읽으면 좋음 글을 쓰거나 말로 생각을 표현하는 건 인간 인생의 거의 전부이기때문
7일 전
익인252
그냥 뭐 웹소설같은거만 읽을바엔 의미있는 영화보는게 낫긴하지
7일 전
익인252
영어를 하면 내가 얻을수 있는 세상의 지식이 10배이상 확대되는것처럼 영상으로 정리된 지식만 보기보단 책으로 날것의 지식을 보는 능력이 있으면 그 차이가 엄청나지
7일 전
익인359
오 대박 !!!!!!!!!!!!! 책 왜읽냐고 하면 익인이 댓글들 말해줘야지🤍 항상 논문으로 지식인들이 증명한다는걸 까먹고 있었군
6일 전
익인253
와 여기가 대한민국 마지막 지식의 보고네 진짜 대~~~~단하시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반년에 소설 30권 읽었다니까 고작 그거 읽고 그러냐, 독해력이 부족하구나 등등 아주 대~단한 다독가들 납시셨네 아주 ㅋㅋㅋㅋㅋ 여기 사람들은 다들 반년에 철학, 인문학으로 한 100권씩 읽으시나봐? 그렇게 바쁜데 커뮤할 시간은 또 어디서들 나서 여기 모여계신담? 아니 그 정도 읽으면 그냥 작가를 하든 교수를 하든 업으로 삼으셔요들~~ 하여튼 주변 보면 학교, 직장 다니느라 바빠서 책 한달에 한권 읽는 사람도 잘 없는데 유독 여기만 보면 다들 책을 아주 끼고 사는 척은; 책 읽는다고 하면 괜히 있어보이고 고상해보일 것 같아서 그럼?

7일 전
익인258
22 현실은 달에 한권 읽는사람 주변에 없
7일 전
익인356
33 그냥 무조건 비아냥대고 조롱할 뿐임
왜 굳이 타인의 기분을 상하게 할려고 못된 말을 하는건지

6일 전
익인254
독서의 차이점은 가장 큰 건 상상을 요한다는 것 같음
예를들면 등장인물이나 장소의 묘사들이 나오면서 문장만 보고 어떤 모습일지 스스로 상상해가면서 생각하는 힘을 기르게 해주는 거라고 생각함
작가마다 같은 장면을 묘사한다했더라도 표현력이 다르니 상상할 수 있는 장면도 다를 거고 또 작가만이 아니라 같은 구절을 읽는 독자끼리도 다 각기 다른 생각을 함 이러면서 생각의 힘이 길러지는 것 같음
하지만 영화나 드라마는 작가가 표현한 구절을 하나의 장면으로 직관적으로 명시되니까 받아들이는 게 다른듯

7일 전
익인369
맞아 이거 공감된다 책읽으면서 난 주인공 캐스팅도 함ㅋㅋㅋㅋㅋㅋ
6일 전
익인255
확실히 도움은 됩니다...
7일 전
익인257
어떤 평론가가 말하기를 책은 물이고 영화는 술이라더라 술도 적당히 먹으면 기분 좋아지는 것도 있으니 둘다 나쁜 건 아니지만 책이 더 좋다는 거지
7일 전
익인259
그냥 읽기만 하면 의미 없는거 같음 뭔가 문장으로 내가 써보고 대화해야 됨
7일 전
익인262
솔직히 사람들끼리 취미 얘기할 때 독서한다고 말하기가 좀 부담스럽긴 해 ㅋㅋㅋㅋ 종종 대단하다고 보는 사람들이 있거든...
나도 자기개발을 한다기보단 흥미 위주 소설로 자주 보는데 이걸 알찬 취미라고 하기에는 조금 양심에 찔리는 느낌이야
사람들이 생각하는 독서취미=자기개발을 위한 도구
이렇게 여겨지는 느낌이라 취미 말할때도 잘난척 하는 것처럼 보일까봐 걱정도 좀 되고...
내 입장에선 단순 흥미로 보는 건데 주위에서 다른 취미와 비교해서 더 낫다, 좋다라고 말하는게 싫어..ㅠ 거짓말 한것도 아닌데 속이는 느낌

7일 전
익인263
ㄹㅇㄹㅇ 잘난 척하는 것처럼 보일 것 같아ㅛㅓ 말 못해,,
7일 전
익인262
ㄹㅇ 그래서 이젠 취미 독서라고 안해..ㅋㅋㅋㅋㅋㅋ ㅠ
7일 전
익인263
먼말알! 그래서 나 책 읽는다 말 절대 안 함 ㅋㅋㅋㅋ ㅠㅠ 부담스러워서
7일 전
익인264
나이들어서는 아직까지는 잘모르겠는데 확실히 초등학생, 어릴 때 많이 읽었느냐 안읽었느냐는 커서 좀 차이가 나더라
7일 전
익인265
소설책 30권 적은 양 절대 아니고 오히려 난 소설이 진짜 독서라거 생각함 (가짜 독서는 없지만) 같은 권수의 책을 읽은 다른 뛰어난 사람이랑 너를 비교하면 별것 아닌 것 같겠지만 책 읽기 전의 너랑 책 읽은 후의 너랑 비교해서 지금의 너한테 책이 많이 도움 됐을 거임 앞선 댓글이 날카로워서 그런지 독서를 통해 얻게된 문해력이라든가 논술 시험의 결과를 너무 폄하하는데 본인의 부족함을 아는 것도 실력이라고 생각함 너는 계속 다독하니까 꾸준하게 발전할 거야 속도의 차이지 책은 영상물보다 더 도움이 됨
7일 전
익인319
22 글고 난 소설이든 비문학이든 에세이든 읽는 방법이 훨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종류나 권수 때문에 폄하하는 건 잘못됐다고 봐
6일 전
익인266
당장 주변만봐도 짧은 영상매체가 독서보다 훨씬 쉬운 입력방법이라는거에는 이견이 없을거고 독서랑 영화보기중 어느게 더 좋은 문화활동이냐고하면 논쟁의 여지가 있겠지만 뇌의 발달 부분에서 본다면 당연히 독서가 훨씬 좋음. 뭐가다른지 모르겠다고 하는데 영상매체를 학습하는거랑 활자를 입력하는 것에서 뇌의 활성화 영역이 얼마나 다르며 장기기억 측면에서 얼마나 유리한지에 대한 연구결과는 수두룩빽빽하니까 찾아보면 될듯. 독서가 더 고상하다! 이건 아니지만 독서 많이하는 사람이 유창한 언어력, 깊은 사고력, 좋은 이해력을 갖는건 당연하기때문에 영화보기와 동급의 활동이라고 평가절하하는건 독서가 조금 억울할듯
7일 전
익인285
이거 맞음!! 전공익 귀에 닳도록 배움 이거
6일 전
익인344
저런 내용은 혹시 어떤 전공에서 배우는거야?
6일 전
익인367
심리학!
6일 전
익인267
왜 소설을 비웃지 ㅋㅋ.. 나도 에세이 자기계발서 안 좋아함 정보를 얻어야 독서라고 생각해서 그러나? 그런 정보는 유튜브로도 쉽게 얻을 수 있답니다 문장 구사력이나 문해력은 책을 읽어야만 향상시킬 수 있는 것들이고 ㅎ
7일 전
익인268
재미가 다르던데 난 소설을 별로 안읽어서 그런가? 관심분야 조금씩 읽다보면 점점 궁금증도 생기고 관심사 넓어지는 것도 재밌고 다른 매체랑은 결이 다른 것 같음 잘 정제된 언어로 조리있게 적혀있어서 좋아
7일 전
익인269
나도 드라마영화 많이 보지만... 독서는 확실히 다름 ㅇㅇ
7일 전
익인270
문학 즐기는 사람은 남의 견해에 잘 휘둘리지 않고 스스로 가치판단할 줄 아는 사람이 많더라
난 그런 본인만의 세계관 가치관 가진 사람이 좋아

7일 전
익인275
맞아 나 이래서 독서해
7일 전
익인272
아니 책읽는것도 올려치기 내려치기 이러는거야??
7일 전
익인273
책을 많이 읽었는데 문장력 안좋아지고 독해력 안좋아지면 그건 지능 문제임 안늘 수가 없음 대층 읽고 있는 걸지도
7일 전
익인274
공부나 마찬가지지
사람들이 어릴때부터 책 좀 읽으라는 소리
귀에 못이 박히도록 하는 이유겠지

7일 전
익인276
독서하는 애들 좀 궁상맞던데
7일 전
익인283
예?
6일 전
익인361
Wow 책좀읽어
6일 전
익인277
즐겨
7일 전
익인278
문장력, 독해력을 제외하고 생각하면 그냥 교양지식 쌓거나 생각 넓히는건 다큐, 유튜브, 영화만 봐도 충분한 것 같음
7일 전
익인280
영화 드라마랑 뭐가 다른지 모르겠다는 건 동의하기 어려운데
6일 전
익인283
오로지 글로만 이루어졌자낭
좋은 취미지 모
영화랑 드라마랑 어떤 부분에선 같겠지만 다를게 없다는 말은 어불성설인거지

6일 전
익인284
그그 영화 리뷰해주시는분! 빨간안경 쓰시는 분이 그 차이 설명해준것있는데
6일 전
익인285
이동진ㅋㅋㅋ
6일 전
익인294
책은 물이고 영화는 술이다
6일 전
익인285
영상 보면 뇌세포 파괴돼 얘들아... 종이라는 매체가 중요한 거임ㅠ 특히 너네 숏츠 계속 보면 돌이킬 수 없게 되니까

1) 알고리즘 정화 (지나친 확증편향 방지)
2) 책 읽어서 뇌세포 활성화해주기

둘 중에 하나는 꼬옥 해주기야

6일 전
익인285
익266이 설명 진짜 잘해줬으니까 댓글 읽어보길....!!!!!
6일 전
익인286
그거생각난다 독서하면 이런 질문을 안 함
6일 전
익인288
나는 소설, 산문 자주 읽는 편인데 종이책의 질감이랑 글을 읽는 행위 자체가 좋아 내가 직접 경험해보지 않아도 간접적으로 느끼게 되는 것도 좋고. 영상 보는 거랑 다른 매력이 있어~ 보이지 않는 내용을 내 마음대로 상상해서 해석할 수 있으니까! 책 자주 보고 일기도 매일 쓰니까 내가 하고 싶은 말도 글로 잘 표현할 수 있게 된 것 같아
6일 전
익인290
책 읽는 게 좋다는 걸 모두가 알아도 실행하는 사람은 소수니까 올려치는 게 아니라 좋은 습관 가진 걸 인정해주는 거지
6일 전
익인291
뭔 올려치기..
6일 전
익인292
올려치기보다는 독서하는게 해보니 쉽지 않으니까 대단하다 그러는거지
나쁜 것도 아니고 게다가 앞에서 대단하다고 그냥 맞장구 쳐주는거임

6일 전
익인293
근데어려움
6일 전
익인295
난 멋있던데 가만히 앉아서 집중해야하는게
6일 전
익인296
근데 독서에 환상 있다는건 동의함 요새 패션독서 너무 많음.. 물론 그걸 꼭 나쁘다고 생각하는건 아니고 그만큼 독서에 환상을 가진 경우가 은근 많다고 말하는거
6일 전
익인297
와 진짜 공감 근데 처음 본문이 너무 짧아서 처음에 댓반응 안좋았던 것도 이해됨ㅜㅡ 본문만 보면 책따위 안봐도 영상보면 똑같은데 독서 올려치기 그만~~~~ 이렇게 느껴져서ㅋㅋㅋㅋㅋㅋ
근데 진짜 내 기준 독서나 게임이나 같은 취미인데 독서가 취미라고 하면 나오는 스테레오타입? 그게 부담스러움ㅜㅜ 똑똑하고 차분할 것 같다…(아님

6일 전
익인298
환상 없는데 뭔 환상? 올려치기를 하나 독서를?? 그냥 누구나 읽는 건데
6일 전
익인299
포타든 리디든 웹이든 활자든 뭐든 읽는게 좋지
취미가 독서라는건 좀 이상한 듯

6일 전
익인300
나는 드라마 영화같은 영상매체는 걍 멍하게 보는데
책은 생각하면서 봐서 좀 다른느낌 머리쓰는것같음

6일 전
익인300
글고 독서올려치기보단 확실히 독서가 취미인 사람이 드물어서
6일 전
익인301
나 걍 어릴 때부터 책 좋아하고 디지털 기기 계속 보면 눈 아프고 어지러워서 종이 선호하는데 취미 독서라 하거나 책 읽고 있으면 특유의 오… 하는 반응이 좀 이해 안 되긴 함 ㅋㅋㅋㅋㅋ 난 심지어 관심분야 책만 읽어서 문학 그런 거 잘 모른다고…
6일 전
익인301
취미 독서라 하기도 민망함 난 걍 취미가 없어서 남는 시간에 책 읽는 급이라…
6일 전
익인301
댓글 다 읽고 왔는데 소설 내려치기는 좀 신기하네 ㅋㅋㅋㅋㅋ 난 소설을 워낙 싫어해서 오히려 소설 읽는 게 더 내 환상 속의 취미생활에 가까운데… 나는 대부분 전공 분야 책 위주로 읽어서 민망함…
6일 전
익인302
얻는 효과가 좋은 것도 맞고 다른 매체랑 다른 것도 맞음 근데 독서가 만능은 아님.. 책 많이 읽는다고 다 지혜롭고 똑똑한 것도 아니고 오히려 고집세고 오만하고 자기 생각에 갇힌 사람도 많음
6일 전
익인303
확실히 다르지
6일 전
익인304
너무 다른 거라 할말이없다 올려치기라니..ㅋㅎ
6일 전
익인304
나도 책 읽는 것도 좋지만 영상매체 좋아하고 영화 드라마 감상평 남기고 이러는 거 엄청 좋아하는데... 독서가 생각할 점이 훵어ㅓㅇㄹ씬 많은 건 사실임
6일 전
익인305
영상이랑 독서랑 다르잖아..
6일 전
익인306
쓰니가 맞으면 그렇게 살면되는거고. 근데 그건 쓰니가 독서 베이스로 영상물을 이해할 수 있는 힘이 있어서 그런거 아닐까? 나도 살면서 책 2천권은 넘게 읽었는데 그 힘으로 살고있다고 생각하거든.
6일 전
익인306
같은 영상물을 봐도 책을 많이 읽은 사람과 읽지 않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범위?랄까 그런게 차이가 크다고 생각하거든. 이건 일반적으로 누구라도 공감하는 바일거야. 독서는 예나 지금이나 권장하고 올려치기 해서 나쁠 것 없다고 생각해 나는.
6일 전
익인307
당연히 다르지 애초에 콘텐츠에 임하는 자세부터가 다른데 ㅋㅋㅋ 쿨병이 너무 들었다...
6일 전
글쓴이
난 영화 볼 때 태도랑 책 읽을 때 태도랑 똑같은데?
6일 전
익인307
그러세요 그럼,,
6일 전
익인309
책 많이 읽는 애들은 딱 티가 나던데 말을 조리있게 잘하더라 문장을 많이 읽어서 그른가 나는 잘 못읽어서 부러움
6일 전
익인311
뭔 환상ㅋㅋㅋ
6일 전
글쓴이
댓만 봐도 개많은데
6일 전
익인312
ㅋㅋㅋㅋㅋ쓰니 책 많이 읽은 독서광이구만 우야노~
6일 전
익인313
나두 어느 정도 동의해
영화도 독서처럼 얻어가는게 있고 견문 넓힐 수 있는데 (물론, 아무 생각 없이 흘리듯 보고 그 후에 더 깊이 생각안하면 똑같겠지만 이건 독서도 비슷하다 생각함)
독서 올려치지 마라 이게 아니라
왜 유독 사람들이 책 읽는다 하면 똑똑하다 대단하다 이런 스테레오타입을 가지는지 모르겠다는거임..

6일 전
익인313
진짜 취미로 영화 깊게 보는 시네필이랑 독서하는 사람이랑 비슷한 느낌이고
영화는 접근성 쉬워서 모든 사람이 봐서
취미가 영화감상이라 하면 사람들이 별 생각을 안하는 것 같음

6일 전
익인314
아 방금까지 임용 땜에 독서교육론 공부하다가 인티 들어왓는데ㅋㅋㅋㅋㅋㅠㅠ 독서를 해야 하는 이유.. 떠오르는 말은 많지만.. 그만 생각하고싶다 독서
6일 전
익인315
댓글에 책 많이 보는 익들 확실히 어휘력이 좋넼ㅋㅋㅋ 이래서 책보는건가싶다
6일 전
익인316
나 책 잘 안 읽는데 난 좀 한 거 같긴 함... 근데 이것도 사바사인게 내 주변 엄~청 다독하는 친구 있는데 되게 말 막하고 무례해... 책을 많이 읽는 사람들 중에 지혜로운 사람이 많다! 이거지 책 읽는 사람은 무조건 똑똑하다!는 아닌듯
6일 전
익인317
나 책 잘 안 읽고 읽어봐야 가끔 웹소정도?라 뭐라 쓰기도 뭐하지만 어느정도 공감은 감ㅋㅋㅋ 걍 사바사인 것도 있는 것 같음 어떤 책을 읽느냐 그 책을 읽고나서 어떻게 나의 인생에 영향을 줄 것인지 행동할 줄 알아야하는데 꼭 책을 많이 읽는다고해서 다 그런 것 같진않음 오히려 나도 책 진짜 안 읽는데 짧은 문장 같은 거 잘 쓴다고 칭찬받은 적도 좀 있거든 글을 집중해서 잘 읽을 수 있는 건 장점이 있다고 생각은 들지만 그걸 지혜롭고 뭐 이런 기준으로 확신?하긴 어려운 것 같음
6일 전
익인318
뭔 말 하는진 알겠음 나도 독서 좋아한다고 하면 오~~ 문학소녀~~ 하는 반응 개부담스러워.. ㅋㅋㅋㅋㅋㅋㅋ ㅜㅜ
6일 전
익인320
근데 책한테 맞은 것도 아니고 그게 그렇게 억울한거임???????
6일 전
글쓴이
살면서 속상한 적 많았음 책 읽으면 다 똑똑해지고 글도 잘 쓰는데 왜 제일 많이 읽는 나만 이런가 싶었고ㅠㅠㅠㅠㅠㅠ 고딩 때 국어 모고에서 쭉 1 찍고 나서는 독서 효과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난다는 걸 알게 된 거지 근데!!! 그것도 모르고 많은 걸 기대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 거지
6일 전
익인320
이유가 있었구나.........뒷 이야기가 있었어
어쩐지 올려치기 된다고 피해주는 것도 아닌데 뭐지???ㅋㅋㅋㅋ했거든

6일 전
익인321
뭔지 알 거 같아 점심시간에 영화 보면 음 영화 보는구나 하는데 독서하면 책 읽는 콘셉트 잡은 줄 알고 대단하다는 듯이 반응하면 너무 부담스럽긴 해 난 별거 아닌 취미 중 하나인 건데
6일 전
익인322
난 어렸을 땐 알아주는 책벌레였는데...커가면서 미디어를 접하니까 책을 전혀 안읽게 됨 ㅠㅠ 아마 나같은 사람 많아서 책 보는게 대단한 일이 된 게 아닌가 싶어ㅎ 그래도 맞춤법은 자연스럽게 늘었고 국어 과목은 따로 공부안해도 계속 상위권이었긴해 지금까지 계속 읽었으면 어휘력도 더 좋아졌을 듯...책 대신에 드라마나 영화를 봤다면 이런 효과를 보지는 못했을듯? 그리고 나도 어렸을때 책 많이 읽었는데도 창작 쪽은 젬병이었어ㅋㅋㅋ아무래도 글 써내는 능력은 다른 차원의 문제인가봐
6일 전
익인324
독서를 어떻게 하냐에 따라서 다른 것 같아 나도 쓰니처럼 원래 소설 위주로만 읽었거든 근데 스토리적 재미는 있는데 남는 게 없는 느낌이 드는거야 그래서 요즘은 비문학도 같이 병행해서 읽고 있어! 지금은 유시민 책들 도장깨기 하는 중이야ㅎㅎ 양질의 도서라서 그런지 머릿속에 교양이 쌓이는 느낌이 들어 그리고 그냥 스르륵 읽는 게 아니라 마음에 드는 구절 발견하면 메모하고 음미하면서 읽다 보니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독서의 장점이 이젠 와닿고 있어!
6일 전
글쓴이
오 나도 최근에 거꾸로 읽는 세계사 재밌게 봄
유시민 책 중에 또 뭐가 좋아???

6일 전
글쓴이
메모하는 습관 들인 거 짱부럽다
6일 전
익인325
두개는 절대 다름…
6일 전
익인326
팬픽읽고 국어1등급받은 사례보면 독서가 문해력 높이는데에 확실히 효과있어보임
6일 전
익인328
취미로서는 뭘 하든 자유지만 독서의 힘은 다르지
6일 전
익인329
딴얘기지만 혹시 어플로 보는거랑 진짜 책으로 읽는거랑 차이가 클까?…
안그래도 독서 해보려고 하는데 혹시 추천해주실분…
책을 너무 안 읽어서 습관들이고 싶어ㅠㅠ

6일 전
익인220
이상한 댓도 많은데 좋은 댓도 많아서 온라인 토론 보는 느낌ㅋㅋㅋ
6일 전
익인330
아마도 책을 안 읽었으면 지금보다 안 좋았지 않을까? 책많이 읽은 사람은 책을 안 읽어본 사람이 된 적이 없으니 책 안 읽었을 때의 단점을 모르는 거지
6일 전
익인332
근데 나는 이런글 좋다
작정하고 어그로끄는 글들좀 사라지고 이런 토론현장이 많이 나옴 좋겠다ㅋㅋㅋㅋ
나도 책 읽는거 좋아하는데 내가 읽는 책들이 어떤점에서 나에게 이로울지는 깊게 생각해본적이 없었네

6일 전
익인333
어릴 때 읽으면 독해력 문해력 잘 길러짐
난 밥상머리에서 책 읽는다고 부모님한테 혼난 적 많았는데 결국 수능국어 원점수 100점 맞고 대학 잘 감

6일 전
익인334
소설 읽을 때 메모 안하는 편이야?
6일 전
익인334
이런 글 반가워 인생 소설 공유해주라
6일 전
글쓴이
아직 인생소설이라고 할 건 못 정했어…
근데 제일 많이 읽은 책은 있어!!!
안도현 시인 연어라는 얇은 소설인데 초딩 때 처음 읽고 반해서 지금까지 열번 넘게 읽은듯

6일 전
익인335
오히려 이 글이 책 읽는 나에 취하고 사람들이 올려쳐주는 나에 취한 느낌… 공수치…
+ 보다 보니까 글쓴이의 환경 문제 아닐까 싶네 나는 글이 전공이라 주변에 다독하는 사람들이 널려서 책 읽는 걸 높게 봐주는 사람이 없음 그리고 독서 많이 한다고 다 미친 듯이 글 잘 쓰고 말 잘하는 거 당연히 아니지 사람마다 갖고 있는 게 다른데… 너무 과하게 억울해 한 나머지 독서 자체를 비난하는 것처럼 느껴짐 대체 뭘 얻고자 쓴 글인지도 모르겠어

6일 전
글쓴이
과하게 억울해한다는 표현이 좀 기분 나쁨…
글 쓴 목적은 충분히 설명 한 것 같은데
나랑 몇몇 댓글들만 봐도 너 같은 환경만 있진 않다는 거 알 수 있지 않아?

6일 전
익인336
나는 독서 마니하는데도 빠 가 임
6일 전
익인337
ㅁㅈ 요즘 독서 취미라고 말하기도 민망해
쓰니는 제일 좋았던 책이 뭐야? 아님 요즘 읽고 있는책

6일 전
익인338
책 추천 좀..
6일 전
익인339
이동진이 책과 영화에 대해 말한 영상 생각난다
답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봐바!

6일 전
익인340
오 나도 이거 말하려고 했는데
‘비유하자면 독서는 물 같은 것이고, 영화는 술 같은 것이다.’

6일 전
익인341
책도 책 나름임 유명한 고전이라고 해도 문체 이상하면 잘 안읽히고 재미없고 그래. 요즘 책들은 자기PR이 많아서 내용이 얕은.. 홍보용 책들도 많고.. 그래도 책을 읽는 이유는 영상보다 내용이 깊어(잘고르면) 예를 들면 유튜브에 있는 경제 컨텐츠는 경제학원론 한권 보면 거의 끝나
6일 전
삭제한 댓글   글쓴이가 고정함
(본인이 직접 삭제한 댓글입니다)
6일 전
익인366
헉 주기적으로 와주면안돼? 당신추천책 내가좋아하는책종류 엄청겹쳐
6일 전
익인342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어때
6일 전
글쓴이
쫌 지루하고 슬픔
6일 전
익인346
갠적인 생각인데
난 요즘은 독서안하고 예전엔 자주 들여다봤거든.?
책을 읽어서 어휘력이 (지금도 좋다고 할순 없지만) 그나마 지금 수준에라도 있다고 생각하고있어.
책 좋아하고 확실히 대인관계도
좋아졌고 나의 취향이 생겨가니까 자존감이 높아졌었어. 나는 성인 40%가 1년에 책 1권도 읽지 않는나라에서 책을 여러권 읽고 소설을 읽든 비문학을 읽든 자기안에서 글을 읽고 사고하면서 시간을 보내는일이 대단한 일이라고 생각해.

6일 전
익인348
뭔말인지 너무 알아...ㅋㅋㅋㅋ 난 그저 유희를 위해서 책을 읽었을 뿐인데 그걸 허세로 치부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야.. 독서 자체가 굉장히 고상한 취미라는 생각이 박혀있으니까 독서하는 사람에 대한 프레임도 고정되어잇는거지 ㅋㅋㅋㅋ 독서? 교양을 흡수할 때 가장 효과적이라 봐. 하지만 조금은 느슨하게 바라볼 필요는 있음
6일 전
익인348
책이 문해력이나 어휘력, 뇌의 활동성 등에 얼마나 효과적인지 재차 말하지 않아도 다 아는 사실이야. 영상 매체와 비교하기 힘들지. 근데 독서를 하는 사람 = 교양인, 독서 = 최상위의 문화 이렇게 계산이 되는 건 부담스럽다. 음 그리고 댓글 중간 중간에 영상•영화에 대해서 평가 절하하는 게 언뜻 보이는데, 영상 언어 역시 굉장히 고차원적이야.. 몽타주 이해하는 데에도 많은 사고와 경험이 필요한 건 알고 이야기하는 거지?
6일 전
익인348
흠 쓰니가 이야기하는 영화는 아마.. '영화적임'을 강조하는 영상일 텐데, 그러면 활자와는 또 다른 능동성이 필요해. 영상은 글이 아닌 시각으로 보이기 때문에 인물 심리나 사실을 숏 미쟝셴+몽타주로 분석해야 돼.,, 영화 역시 '시각 예술'임을 잊지 말자. 능동적 분석이 항시 필요하다구.. 물론 단순 컷붙이기와 내용전개에만 급급한 영상물은 해당 안 되겠지만!
6일 전
익인348
그나저나 쓰니야 너 정말 근본부터 차곡차곡 읽었구나.. 장르도 다방면이네.. (매치가 안 돼ㅋㅋㅋ)
6일 전
익인349
이해됨 걍 취미중 하나라고 인식되도 좋을듯
6일 전
익인350
카타리나 블룸의 잃어버린 명예 추천요
6일 전
익인351
독서는 그냥 돈 안드는 여가활동 아닌가
6일 전
익인253
소설은 1위 차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 2위 인간실격, 3위 상실의 시대
소설 아닌데도 꼭 읽어야 하는 것 국부론, 자본론

6일 전
익인253
요즘 베스트셀러 칸에 있는 책들은 개인적으로 비추천..
6일 전
글쓴이
베스트셀러 특히 국내 소설들이 영양가 없긴 하지ㅋㅋㅋㅋㅋ 에세이들도 그렇고
6일 전
익인353
이야 많이 읽었네 부럽다
6일 전
익인354
댓글 너무 재밌다 책 안읽어본 사람들이 오히려 올려치기하는거 같음 ㅋㅋㅋ
6일 전
익인356
문해력, 인내심을 높여준다는 게 크다고 생각함
사회가 유지되는 데에는 건강한 담론이 오가고 소통이 잘 되는 게 중요한데, 자극적인 것에 익숙해져서 사고하는 힘과 맥락에 대한 이해력이 약해지면 건강한 소통문화가 자리잡기 힘들어질 것 같아
그렇기때문에 독서와 토론은 권장되어야 한다고 생각해

6일 전
익인357
나한테 해롭지도 않고 이득만 있는데 올려치기 좀 하면 어때
6일 전
익인358
까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재미있어 국내 소설은 김사과 미나
6일 전
익인360
길어서 망설이고 있었는데 읽어볼겜!!
6일 전
익인362
여기서 소설 후려치는 애들은 대체ㅋㅋㅋㅋㅋㅋㅋ
6일 전
익인363
최고의 독서 바이럴 글이네
6일 전
익인364
이 글이 그렇게 화낼 일인지는 모르겠음 다들 커뮤에 찌든 뇌임
6일 전
익인370
고전소설도 소설이다..!내 최애 헤르만헤세 작가의 책은 다들 꼭 읽어봐!데미안,싯타르타,나무들 등등 문체가 정말 아름다워!유명한 이유가 있다니까
6일 전
익인371
1번으로 책읽는게 대단하게 생각하는게 아니라 대단한거야
-영상매체나 게임매체랑 달리 책은 보는게 아니라 읽는거라서 습득시간이 길고, 이해까지 시간이 오래걸리는데, 그동안 생각을 하게 되는거지.
반면에 게임이나 영상매체는 직관적이라서 바로 받아들이게 되니까 책에 비해 생각할 거리가 적은거고.(스토리가 좋아서 생각했다가 아니라 문맥의 이해도를 말하는거야)
2번으로 책을 읽는것자체가 문법이나 작문에 있어서 커뮤니티만 하는거랑은 완전 다른거야
-여기서 소설이 웹소설이나 정말 양판소로 치부되던 게 아니면 지금 여기서 하는 인터넷 글보다는 훨씬 양질인 것들인데, 그걸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내가 어떻게 쓰고 설명하는지를 배우게 되지.

남이 니가 책읽는다고 올려친다고 하는데, 정말 올려칠정도의 생각을 하는지는 모르겠네.

6일 전
글쓴이
? 그니까… 올려칠 정도의 생각을 하지 않는다고 계속 얘기했음
6일 전
익인372
소설이 쓸데없는건 맞긴하잖아
6일 전
익인373
오히려 쓰니가 다독하는 사람이라 그렇게 느끼는 듯 ㅋㅋㅋ 쓰니 입장에선 독서가 어려운 일?이 아닌데 책 한 권도 안 읽는 사람 입장에선 책 읽는 게 대단한 일이니까...
6일 전
익인374
추천하려고 급하게 들어왔다 ㅋㅋㅋㅋ
딸들의 제국 (주인공이 장수말벌인데 연대기 읽는 거 같이 흥미진진)
워터쉽 다운 (주인공이 토끼인데 위와 비슷함)
설득, 맨스필드 파크 등 제인 오스틴 전권 (오만과편견 읽었던데 블랙유머/돌려서 말하는 문체 좋아하면 오스틴이랑 영문학 다른 것도 다 재밌는듯)
나의 산에서 (서바이벌류 좋아하면)
손도끼
돼지가 한 마리도 죽지 않던 날 (가벼워보이는데 좀 먹먹함)
비밀일기

6일 전
익인375
와 책에 대한 관심을 이렇게 끌다니 역시 다독한 사람이네ㅋㅋ 댓글 책추천도 재밌고 갑자기 책읽고 싶어짐
5일 전
익인376
근데 이 글 댓글 진짜 재밌다 물론 걍 내 관점일 수도 있지만
나 어릴 때부터 활자 중독이었거든? 그래서 관심가는 글 있으면 댓글 처음부터 끝까지 전부 다 읽는데 글쓴이 말 이해한 애들은 댓글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고 맥락알고 댓글 상대적으로 길게 남기고 아닌 애들은 그냥 본문만 보고 한 줄로 글쓴이 반박하고 감ㅋㅋㅋ 내가 보기에 쓰니한테 공감하는 독서 좋아하는 애들 열에 여덟은 활자 중독이라 댓글 처음부터 다 읽었을 듯ㅋㅋㅋ 역시 사람은 비슷비슷하구나 싶음. 그래서 재밌어 암튼 독서 왜 올려치기 하는 지 모르겠다는 말에 공감~ 나도 소설츙인데 상식 부족해서 애들이 넌 책도 많이 읽으면서 왜 그러냐 이럴 때 진짜 짜증나거든 추리소설에 관심있는 사람들 혹시 크라임씬 같은 거 좋아하면 정해연 작가 추천함ㄱㄱ

5일 전
익인377
다른 사람의 인생을 깊이 체험할 수 있는건 지금까지도 독서가 유일한 것 같은데... 내생각엔 너가 양산형 소설을 많이 봐서 그런것 같애 흔히 말하는 도파민 픽
어제
익인377
영화 드라마 음악 이런것들은 돈이나 수익성이 많이 관여하는 패스트 컬쳐잖아 책도 그런 부류가 있는데 그게 아닌 부류의 책을 많이 읽어봐야해
어제
글쓴이
양산형 소설 별로 안 좋아하는데… 본문에서 말한 영화도 상업영화만을 말하는 건 아닌 거 알지?
어제
익인377
알지~
어제
글쓴이
다른 댓글들도 그렇고 자꾸 나한테서 문제를 찾으려고 하는 것 같아…ㅠ 댓글 제대로 보지도 않고 넘겨짚으면서까지
어제
익인377
독서 자체는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 읽어야한다고 생각해...
23시간 전
123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한국이 아니시네요
이런 메뉴는 어떠세요?
익명여행 l 익외거주
카테고리
초록글 시간 · 조회 · 추천 · 인기 · 스크랩 
  1 / 3   키보드
날짜조회
이성 사랑방하.......애인이 너무 찌ㄴ따 같아...........................468 11:2956783 20
일상모빌 집에 있으면 유아퇴행같나?324 11:1541617 0
일상와 미쳤다ㅋㅋ 고1 동창 근황 알게됐는데 담임쌤이랑 결혼함292 13:5936934 5
일상데이트 통장 왜 별로라는지 몰랐는데 303 11:0624101 10
KIA/OnAir ❤️오늘은 꼬옥 이겨조🫶🏻 영철이 승투 만들어줄 빠따랑 눈 가져왔.. 2127 17:5614412 0
이성 사랑방 애인한테 카톡으로 비 너무 많이 와서 지각해서 혼났다고 얘기했더니 이렇게 답장 옴1055 06.22 12:39 120071 4
러브버그가 점령 못한 지역 어디임?913 06.25 11:20 87797 2
조카한테 너 입양아라고 말하는거 오바야.....?????862 06.26 12:30 88886 1
100만원 내면 10kg없애준다하면 낼거야?753 06.24 00:48 51749 5
처 먹을거 다 처 먹으면서 음료수는 제로인 애들은 이유가 뭐야????????????..625 06.26 10:10 84276 2
올해 유행하는 밈 top25 (재유행 포함) 몇 개 알?704 06.22 19:46 82939 4
익들이 원하는 몸매 추구미 왼이야 오야?606 06.26 22:50 60189 1
너네 레즈랑 친구 가능해? 친구가 레즈인데 너무 꺼림칙해650 06.24 15:52 80125 4
이성 사랑방 연애중인 일들 자기자신-애인 Mbti 궁합표677 06.24 23:09 67373 0
밥 느리게 먹는 친구가 너무 짜증나... 676 06.20 10:18 75993 6
얘들아 절대 회사에서 울지마...602 06.23 11:56 100791 43
옷은 싼티나는데 가방은 명품인 게 제일 볼품없음...500 06.20 23:49 64366 3
20대 중후반 익들 월급 얼마받아...?490 06.24 22:08 32389 2
다이소에서 화장품을 왜 사......473 06.24 14:11 86331 2
동기가 준 과자 때문에 응급실 갔다왔는데 응급실비 달라고 해도 됨..?466 06.20 20:23 65402 1
28살 할미가 조언하는데 썬크림 꼭 써라 후회한다475 06.23 11:04 91303 7
살면서 본 이름중에 젤 예쁜 이름 뭐였음..?434 06.25 00:02 23884 5
나 햄버거 가게 갔다가 직원한테 쪽 당했어438 06.23 01:35 62135 0
av배우 오구라 유나 좀 무서운 점631 06.21 15:02 111519 47
독서 왤케 올려치기해줌??566 06.20 15:08 81383 12
전체 인기글 l 안내
6/27 21:40 ~ 6/27 21:42 기준
1 ~ 10위
11 ~ 20위
1 ~ 10위
11 ~ 20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