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습니다 l 열기
l조회 308l 1
이 글은 7개월 전 (2023/11/04) 게시물이에요

기사 되게 잘씀.

내가 생각했던 부분들 다 집어주고 있음.

스우파전에도 평소 코레오를 챙겨보던 사람으로서 스우파가 얼마나 반가운 프로그램인데 이따위로 망쳤는지.


출연자들은 잘못이 없음. 무슨 힘이 있었겠어. 열심히 최선을 다한 거 밖에 없고 그런 노력을 손가락질 받게 만든 건 제작진들인데.


상식을 무시하는 엠넷 프로그램 소비안해야되는데, 얘네가 킬링 콘텐츠는 기가막히게 발굴해서 화제성을 모음.

그러나 그 프로그램에 대중들이 열광하는 건 제작진들이 원하는 갈등과 자극과는 다른 결이었는데 그걸 모름.

엠넷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합한 서바이벌과 아이돌 서바이벌도 좋은 소재로 발굴되었다가 망한 것도 이런 시청자, 출연잔에 대한 존중없는 태도, 윤리의식 없는 제작진들의 장난질때문에 다 망했잖음.


들리는 썰에 의하면  스우파1 성공으로 스맨파부터 제작진보다 더 윗선들이 개입 심하게 해서 제작진들이 오히려 편집할 때 애먹었다는데,

제작진이든 윗선이든 이 좋은 소재와 출연진들을 살리지 못하고 다 뒤진 감으로 방송할 거면 사이좋게 퇴사하길 바람 .


https://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6843




[미디어스=윤광은 칼럼] 엠넷 스트릿 우먼 파이터> 시즌2가 지난달 31일 막을 내렸다. 이번 시즌 스우파>를 정리해 본다면 나름의 성과를 거둔 것이 사실이다. 시청률은 방송 중반 이후 하락했지만 마지막 방송에선 반등해서 2.4%를 기록했다. 유튜브 영상 조회수는 역대 시즌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는데 해외 팀이 참가한 글로벌 시즌의 개가다. 방송과 미션 영상을 보는 시청자층의 외연이라는 측면에선 결실을 거두었지만, 시청률 자체가 시즌1에 비해 높지가 않고 코어 시청자층 확보는 부족했던 것 같다. 파이널 방송 총 문자 투표수는 시즌1보다 무려 40만 표가량이 줄어서 화제성의 차이가 드러났고, 내달 예정된 콘서트는 지방에서 빈 좌석이 속출하고 서울 역시 지난 시즌에 비해 공연장 규모를 절반 이상 줄였음에도 매진되지 않았다.

더더욱 제작진들이 자축할 수 없게 만드는 건 종영과 함께 고개 든 잡음들이다. 몇몇 기사를 통해 보도가 되었지만, 베베의 우승을 두고 의문의 목소리가 높다. 글로벌 시즌임에도 문자 투표 비중이 80 프로나 되고 해외에서는 문자를 보낼 수가 없었다. 이것이 해외 참가팀 잼 리퍼블릭의 우승을 막기 위한 장치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댄스 경연을 한다면서 ‘인기투표’로 우승자를 정한다는 야유도 들린다. 한편으론, 후속 방송 스트릿 걸스 파이터>2에 파이널에 진출한 네 팀만 출연한다는 뉴스가 발표됐다. 원래 스걸파>는 스우파> 출연 팀들이 멘토로 출연하는 방송인데 이번엔 하위권 네 팀은 제외됐고, 대신 시즌1 출연팀 훅과 라치카가 합류한다. 제외된 팀의 팬들은 박탈감을 토하고 있다. 종영 후 출연자들이 모여 방송에 관한 비하인드 토크를 풀던 갈라쇼도 제작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아쉬움을 사고 있다.

figure class="photo-layout image photo_208914 float-center" data-idxno="208914" data-type="photo" style="box-sizing: inherit;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auto 1rem; max-width: 960px; float: none ;">
[정보/소식] [기사] '스우파2' 종영이 남긴 잡음들 | 인스티즈
figcaption style="box-sizing: inherit; padding: 0px 0.625rem; margin-top: 0.75rem; font-size: 0.8125rem; font-weight: var(--wgt400,400); line-height: 1.625; color: rgb(119, 119, 119); text-align: left;">Mnet 스트릿 우먼 파이터2〉 (사진제공=Mnet)/figcaption>/figure>

이상의 상황은 두 가지 키워드로 수렴한다. 리얼리티 서바이벌 방송을 주무르는 작위적 서사와 출연진·시청자들에 대한 존중이다. 베베의 우승에 뒷말이 나오는 배경은 단순히 베베의 파이널 무대가 아니다. 방송 전반에 걸쳐 이 팀과 리더 바다리는 제작진의 호의적 편집을 얻었고 방송의 주인공으로 낙점된 인상이 들었다. 소위 ‘악마의 편집’이라고 불리는 엠넷의 전가의 보도에 단 한 번 스치지도 않은 팀은 베베 정도다. 계급 미션에서 일어난 라트리스와 레드릭의 갈등, 미들계급에서의 분량 논란에서 알 수 있듯, 다른 팀은 문제가 없는 행동도 문제처럼 조명되고 잘한 부분도 보여주지 않았다면, 베베는 경연 상의 부족함도 미화되고 별다른 의미가 없는 사소한 상황도 감동받기를 요구하는 휴먼 드라마로 각색됐다.

방송 초반부엔 바다리 개인의 매력에 힘입어 제작진의 편집 전략이 시청자들에게 수용되었다. 하지만, 메가 크루 미션은 베베에 대한 여론이 전환되는 분기점이었다. 베베의 메가 크루는 출연자들과 시청자, 댄서 리뷰어들이 거의 만장일치로 꼽는 아쉬운 작품이었고, 참가팀 중 최하위라는 것이 중론이었다. 하지만, 방송에선 다른 팀들에겐 비판을 가리지 않던 저지들이 베베의 단점은 제대로 거론하지 않았고 ‘바다가 희생을 해서 퀄리티가 나오지 않았다’는 이해하기 힘든 심사평이 나왔다. 베베는 딥앤댑보다 높은 저지 점수를 얻으며 탈락 배틀로 가지 않았다. 이 시점에서 베베는 ‘피디 픽’ 수혜자라는 인식이 퍼지기 시작했고 이후 미션에서 특별히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며 이미지를 만회하지 못했다. 이전 시즌 우승자 홀리뱅, 저스트 절크와 달리 경연에서 한 번도 압도적인 무대로 증명하지 못한 팀, 그럼에도 편집의 수혜를 일관되게 입은 팀이 파이널 미션의 편중된 점수 배점에 의해 우승했다. 이렇게 보는 인식이 베베의 우승에 불복 심리가 대두하는 맥락이다.

figure class="photo-layout image photo_208915 float-center" data-idxno="208915" data-type="photo" style="box-sizing: inherit; display: inline-block; margin: 0px auto 1rem; max-width: 710px; float: none ;">
[정보/소식] [기사] '스우파2' 종영이 남긴 잡음들 | 인스티즈
figcaption style="box-sizing: inherit; padding: 0px 0.625rem; margin-top: 0.75rem; font-size: 0.8125rem; font-weight: var(--wgt400,400); line-height: 1.625; color: rgb(119, 119, 119); text-align: left;">Mnet 스트릿 우먼 파이터2〉 (사진제공=Mnet)/figcaption>/figure>

이건 베베만의 문제가 아니다. 방송 1화부터 되감아서 떠올리면 처음부터 주역과 조역, 단역들이 정해져 있었고 보이지 않는, 아니 사실은 너무나 뚜렷한 배후의 의중에 의해 작위적인 서사가 짜여있었다는 인상이 씻기지 않는다. 각 출연자들에겐 제작진이 배정한 쓸모가 있었고 그에 따라 분량이 천차만별이었으며 쓸모를 다하고 퇴장할 차례도 정해져 있었다는 인상이 든다. 반대로 비중이 큰 출연자들은 어떤 실패를 저질러도 중도에 탈락하지 않는다. 논란이 된 스걸파>2 출연 문제도 마찬가지다. 출연의 특혜를 누리는 네 팀은 파이널 진출 팀이란 명분이 있지만, 우연찮게도 네 팀 모두 1화부터 제작진이 가장 많은 분량과 서사를 주던 팀이다. 방송을 제작하던 단계부터 파이널 진출은 물론 후속활동까지 밀어줄 팀을 미리 정해 놓고 판을 짰다는 ‘음모론’이 나와도 이상할 것이 없다.

엠넷이 서바이벌 방송, 특히 이 댄스 시리즈를 연출하는 작태에선 판에 박힌 서사 구도가 확인된다. ‘대세’ ‘트렌드’의 대명사로 호명되는 젊은 케이팝 안무가가 ‘영보스’로 등극하고, ‘어그로’를 끌며 ‘악편’의 제단에 올라가는 ‘빌런’이 등장하고, 베테랑 댄서나 케이팝 신의 기성 안무가는 초반에 시련을 겪다가 메가 크루를 통해 비상하거나 ‘영보스’ 탄생 서사의 제물이 된다. 리얼리티에 서사 구도를 덧씌우는 작위성은 실존인물인 출연자들의 행적을 왜곡한다는 점에서 윤리적 폐해가 클뿐더러 출연진의 사회적 이미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게다가 이 서사는 더 이상 재미도 없다. 닳을 대로 닳아서 의도가 훤히 보일뿐더러 현실적 우발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리얼리티 방송 고유의 의외성, 생동감과 배치된다.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카테고리
날짜조회
드영배안x현 하면 누가 먼저 생각나?523 06.30 11:0719572 1
연예25살되니까 ㄹㅇ 아이돌에 대한 관심이 싹 없어짐402 06.30 15:5514531 2
플레이브 💙💜💗❤️🖤2024년 하반기의 시작 7월! 출석체크 해보자💙💜💗❤️🖤 206 0:00914 0
데이식스 🍀 하루들아 7월맞이 출석체크 하자! 🍀 90 0:15647 6
방탄소년단💜 7월 맞이 탄독방 출석체크 💜 74 0:01349 0
 
정보/소식 정국 Seven을 밀어내고 드디어 글로벌 스포티파이 1위를 차지한 곡23 11.07 18:46 1714 14
정보/소식 11/7 르세라핌 퍼펙트나잇 글포티/미포티/일포티6 11.07 18:45 420 0
정보/소식 AOMG 새로운 아티스트 "지코"96 11.07 18:28 5621 0
정보/소식 레드벨벳 Chill Kill 캐릭터 스포일러15 11.07 18:18 1707 8
정보/소식 보넥도 가비지타임 ost 발매 11.07 18:01 109 1
정보/소식 BTS 제이홉, 군 요리대회 MC 차출 취소53 11.07 18:00 2766 6
정보/소식 '돌싱포맨' 오늘(7일) 결방, '워터멜론'vs'혼례대첩' 시청률 승자는? [FOCUS..1 11.07 17:41 82 0
정보/소식 [단독] 박봄, 건강 이상설 벗고 솔로 앨범 준비 중 "곧 소식 전할 것"2 11.07 17:17 593 3
정보/소식 11월 7일(오늘) 6PM 보이넥스트도어 '가비지타임' OST 공개3 11.07 16:53 132 0
정보/소식 인스티즈 메뉴 바뀌기 전/후15 11.07 16:49 478 0
정보/소식 테일러스위프트 1989 재녹음 앨범 빌보드 순위11 11.07 16:45 337 0
정보/소식 [단독] 기안84 대상 굳히기 간다!..'태계일주3' 日 편성→26일 첫방17 11.07 16:22 591 1
정보/소식 [단독] 수진, '솔로 데뷔' 활동 박차…'스튜디오 춤' 녹화 완료30 11.07 16:15 2338 0
정보/소식 이선균이 공갈로 고소한 강남 유흥업소 여실장 구속 기소2 11.07 16:12 265 0
정보/소식 하트시그널 서민재 인스타그램33 11.07 16:10 3623 0
정보/소식 11/8 쇼챔 출연진 11.07 16:04 269 0
정보/소식 김준수, 12월29∼31일 잠실실내체육관서 콘서트 개최27 11.07 15:51 990 12
정보/소식 "'세븐틴 동생' 보이그룹, 2024년 1분기 데뷔 확정"(공식)2 11.07 15:42 467 0
정보/소식 지드래곤한테 렉카짓하는 공중파 방송 SBS MBC11 11.07 15:25 820 0
정보/소식 SF9 출신 다원 '비밀'로 스크린 데뷔 11.07 15:19 130 2
덕질 업그레이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