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거장 렘 콜하스가 처음 설계한 주택 메종 보르도. 그의 책과 전시를 본 건축주가 ‘당신은 역사에 남을 테니 내 자본으로 당신의 작가성을 실현하라’고 주문했다. 콜하스는 명작을 지었고 건축주의 후대는 건물을 활용해 여러 사업을 벌인다.
건축가의 창작 활동은 언제나 남의 자본에 기대어 있다. 사용자의 의뢰와 목적이 없으면 애초에 성립하지 않는 만큼 건축주의 자본을 상기하는 것이 건축가의 직업윤리다.
그러나 자본에 대한 고려가 ‘싸게 지어 달라’거나 ‘내 돈이니 내 맘대로’ 짓는 건축문화를 의미하는 건 아니다. 모든 것이 상품으로 환원되는 자본주의 사회 속 자본과 무척 밀접한 분과는 맞지만 문화예술로서 성취해야 하는 가치 또한 우선순위여서다.
건축가의 직업윤리를 다시 말해 보자면 법규와 자본의 제약 속 자신의 작가성을 만드는 일이라고 하는 게 더 정확하다. 이러한 이해도를 가진 건축주 덕분에 뛰어난 건축가가 양성되고 걸작이 탄생하곤 한다.
(...)
그렇지만 건축의 입장에서 건축가와 건축주 간의 조율이 어렵다고 ‘그럴 거면 네 돈으로 집 지으라’고 하지는 않는다. 민 대표를 영입한 주된 요인이 그의 작가성이었던 만큼, 마찬가지로 이 부분을 문화적 측면에서 살피는 것도 필요하다. 법정 공방은 공방대로, 문화적 담론은 담론대로 이어져야 비로소 ‘문화적 자본’이 사회에 확산할 수 있다.
실제로 아이돌 산업은 수많은 주주의 자본으로 대중을 상대하는 산업인 동시에 개인 프로듀서마다 지향하는 이상적 스타를 만드는 창작 활동이기도 하다. 냉철한 시장 분석과 전략 이외에 스타 프로듀서들이 자신의 거울상처럼 그리는 각각의 아이돌이 존재한다. 어쩌면 이 사건에 대한 여러 대처가 대형 회사답지 않은 이유 중에는, 이 문제의 근간에 개인 예술가로서의 자아가 영향을 끼치고 있어서인지도 모른다.
이러한 맥락에서 민 대표와 그가 소속된 회사 간의 분쟁을 경제 논리로 바라보지 않는다. 계약했으니 무작정 순응해야 한다거나, 연봉을 일반인보다 몇 곱절 받으니 ‘을’이 아니라는 주장은 단순하다. 수많은 사람이 자신의 목표와 애정을 가지고 작동하는 게 이 산업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장점이든 단점이든, 유난히 개인의 작가적 역량이 두드러진 민 대표는 이 부분을 강하게 점화했다. 제 작업에 큰 확신을 가진 그에게 있어 ‘자본’은 최우선 순위가 아니라 자신이 실행하는 작업의 도구로 묘사되곤 했다.
우선 직접 언급된 ‘표절’ 문제의 요지는 이렇다. 프로듀서를 영입한 게 마치 그의 창의성을 구매한 것처럼, 뉴진스를 연출한 전략이 다른 그룹에도 무분별하게 도입됐다. 아마도 조직 산하 여러 레이블 각각의 고유성을 살리는 것 대신 한 레이블의 성공 사례를 다른 레이블에도 적용하는 게 맞는다는 비즈니스 전략이었겠다.
사업적 성패와 법정 공방을 떠나 이 전략은 문화적 측면에서 부정적이다. 인기 있는 문화가 사회에 자연스럽게 확산하는 필연성이 아니라(뉴진스가 유사성을 띤다는 이전 문화들과의 관계가 그렇다), 문화의 참조 관계는 아랑곳하지 않고 빠르게 성공 사례를 재생산하는 목적이 중심이어서다. 이는 보통 음식점을 전국적으로 체인화하는 방식과도 비슷하다. 결과적으로 아직 데뷔한 지 만 2년이 안 된 뉴진스는 비슷한 사례의 일종으로 엿보이고, 기본적으로 각자가 가지고 있던 특색들은 금세 휘발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정작 자신들이 성공할지 실패할지 모르는 상태에서 연습에 매진한 각 그룹의 구성원, 그리고 제대로 된 보상 없이 마찬가지 수고를 다한 산업 종사자들의 노고는 대수롭지 않게 치부된다. 건축문화가 문화적 자본 대신 당장의 수익 계산을 중시할 때 생기는 문제 이상으로, 수많은 인적 요소가 직접적으로 투입되는 이 산업에서 부작용은 정말 커 보인다.
자본 논리만 이야기하기에 문화적 후퇴가 작지 않다. 더 많은 돈을 투자한다고 문화적 자본이 따라오리란 보장도 전무하다.
최나욱 작가 겸 건축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