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승연 기자 = 지난 9일 국회 앞에 위치한 한 카페 출입문에 '이어질 집회에 나눔 지원 계속하겠다'는 안내 문구가 적혀있다. 해당 카페는 지난 7일 촛불시위 참가자들에게 음료와 떡을 제공했다. 2024.12.10.
(서울=연합뉴스) 이승연 기자 = "앳된 목소리로 전화 와서 가장 저렴한 떡 가격을 묻더니 10개만이라도 선결제하겠다고 하더라고요."
지난 9일 여의도 국회 앞 카페 '케이팥'에서 근무하는 40대 장보라 씨는 이틀 전 열렸던 시위 직전에 걸려 온 선결제 주문 전화를 떠올리며 이렇게 말했다.
장씨는 "그 친구는 3만9천원을 보내줬고, 많게는 50만∼100만원 이상 결제하시는 분들도 있었다"며 "세어보진 않았지만 40∼50명 정도 선결제를 해주셨다"고 돌아봤다.
지난 7일 국회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하는 대규모 집회가 열린 가운데 '선결제'가 시위의 새로운 문화로 떠올랐다.
'선결제'는 상품 수령자를 정해 놓지 않는 주문 방식이다. 결제자는 전화로 주문한 뒤 비용을 가게 계좌로 입금 하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결제한 매장을 공유한다. 시위 참여자들은 SNS를 보고 가게를 찾아가 이렇게 선결제 된 음료 혹은 간식을 무료로 받아갈 수 있다.
7일 밀려드는 시위 인파에 급히 매장에 투입됐던 장씨는 피곤한 기색이 역력했다. 주말새 재고가 모두 소진돼 이날 카페 오픈 시각을 2시간가량 늦췄다고도 했다.
장씨에 따르면 선결제를 요청한 고객 대다수는 해외 및 지방에 거주하는 이들이었다.
"한 분이 선결제 소식을 알리면 그 지인들이 선결제하는 연쇄 반응이 일어났어요. 전화를 받고 일하다가 사장님과 함께 울컥하는 순간이 많았습니다."
장씨와 인터뷰를 하는 동안 카페를 찾은 단골손님 60대 김모 씨는 친구들과 함께 촛불시위를 앞두고 총 60만원을 선결제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광주 민주화운동 때도 시민들이 주먹밥을 나눠주지 않았나"라며 미소 지었다.
https://m.yna.co.kr/view/AKR20241209136400505?site=popup_share_co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