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어요 l 열기
모바일 (밤모드 이용시)
댓글
l조회 348l
스테디셀러 창작 뮤지컬과 국내 최정상 가수들의 콘서트로 공연 업계 흥행이 이어지고 있다. 예스24 티켓 집계 결과, 연간 공연 티켓 판매액은 최근 4년(2021~2024) 연속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페스티벌을 경험하지 못한 뉴 제너레이션이 축제 현장을 찾으려는 수요가 증가하며 밴드 공연이나 락 페스티벌에 관객들이 대거 유입되고 있다. 실제 밴드 사운드의 생생함을 느낄 수 있는 공연 예매가 있던 달에는 전월 대비 티켓 판매액이 상승하기도 했다.

[잡담] 박성훈 출연 '빵야'·NCT 127 '네오 시티-더 유니티'…2024년 예스24 티켓 분야별 1위 | 인스티즈

DAY6, 킹누 등 2024년을 휩슨 ‘밴드 붐’

월별 판매액 추이를 살펴보면, 2024년 통틀어 공연 티켓 판매액이 가장 높았던 달은 10월로 전월 대비 73.1% 급증했다. 59년 가수 인생을 마무리하는 나훈아 라스트 콘서트를 비롯해 K-POP과 트롯 스타들이 총출동한 코리아그랜드뮤직어워즈 티켓 오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4년은 밴드 붐의 시대라는 말이 많이 나왔는데, 이는 티켓 예매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K-POP 대표밴드인 DAY6 콘서트 티켓 오픈이 있었던 8월, 일본 간판 밴드 킹 누(King Gnu)의 첫 내한 공연 티켓이 오픈된 1월, 부산국제록페스티벌 티켓이 오픈 된 7월이 티켓 판매액 순위의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샤이니, 이찬원, 더보이즈, 스트레이 키즈 콘서트 및 NCT127 팬미팅 티켓 등이 차례로 오픈되며 꾸준한 공연 티켓 판매액을 기록했다.

2030세대 72.9%로 공연 티켓 판매액 견인

2023년에 이어 2024년 예스24 공연 티켓 예매를 가장 활발하게 이용한 연령층은 2030세대(72.9%)였다. 20대 비중이 41.9%로 가장 높았고 30대(31.0%), 40대(13.8%)가 뒤를 이었다. 10대 이하 예매자 비율은 6.7%로 전년 대비 2%p 증가했다.

2024년에는 전년 대비 남성 예매자 비율이 증가한 점도 눈에 띈다. 2023년에는 여성 예매자가 남성보다 약 6.5배 많았으나, 2024년에는 여성(73.2%) 예매자가 남성(26.8%)보다 약 2.7배 많았다.

[잡담] 박성훈 출연 '빵야'·NCT 127 '네오 시티-더 유니티'…2024년 예스24 티켓 분야별 1위 | 인스티즈

스타들의 귀환으로 대학로 공연 강세

예스24 티켓 판매 기준, 2024년 공연 판매액 증감률은 전시/행사 310.2%, 연극 151.7%, 콘서트 3.9%, 뮤지컬 0.2%로 분야별로 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가장 높은 판매 성장률을 보인 ‘전시/행사’ 분야 판매를 견인한 층은 미술관이나 전시 소비의 주축인 2030세대이다. 색다른 전시나 참여형 페스티벌 등이 SNS를 통해 확산되며 2030은 몰입형 전시를 비롯해 페스티벌 예매율에 있어서도 압도적인 비중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2024년 예스24 티켓 판매 전체 랭킹 1위인 ‘이토 준지 호러하우스’ 전시는 MZ세대들이 예매 순위를 견인했다. 20대(54.3%)의 예매율이 압도적이었으며, 30대(26.1%), 10대(11.5%)가 뒤를 이었다. 또한 4위를 기록한 ‘2024 부산국제록페스티벌’의 경우도 2030세대가 전체 예매의 86.0%를 차지했다.

[잡담] 박성훈 출연 '빵야'·NCT 127 '네오 시티-더 유니티'…2024년 예스24 티켓 분야별 1위 | 인스티즈

K-POP 밴드 콘서트부터 한국 초연 뮤지컬, 스타 배우의 귀한 연극까지

2024년 ‘연극’ 분야는 조승우, 박성훈, 황석정, 강부자, 윤유선 등 인지도 높은 스타 배우들의 귀환으로 큰 관심을 받으며 전년 대비 판매액이 151.7% 상승했다. 대학로 공연들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작년 연극 베스트셀러 1위는 배우 박성훈이 7년 만에 연극 무대에 오른 ‘빵야’가 차지했다. 이외에도 독일 문학의 거장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원작으로 한 ‘헤르츠’, 믿고 보는 배우 황석정의 1인극으로 화제를 모은 ‘일리아드’ 등이 5위권 내 포진했다.

이색 전시가 다수 개최되며 전년 대비 판매액이 약 4.1배(310.2%) 급증한 ‘전시/행사’ 분야에서는 공포 만화의 거장 이토 준지의 작품을 몰입형 체험전시로 만날 수 있는 ‘이토 준지 호러하우스’가 1위에 올랐다. 이어 국내 최대 애니메이션 X 게임 축제 ‘AGF 2024’, NCT 127 3번째 월드투어 ‘NEO CITY - THE UNITY’를 소재로 한 스토리텔링 체험형 전시 ‘THE GREAT UNITY’, 일본 인기 만화 ‘강철의 연금술사’를 주제로 한 ‘강철의 연금술사전’ 등이 뒤를 이었다.

‘콘서트’ 분야는 K-POP 아이돌 등 국내 최정상 가수들의 콘서트 및 해외 인기 아티스트들의 내한 공연으로 3.9%의 판매 성장률을 보였다. 2024년 베스트셀러 1위는 스트레이 키즈의 월드투어 〈Stray Kids World Tour dominATE SEOUL〉>가 차지했다. 그 외에 나훈아, DAY6 콘서트가 5위권을 점령했으며, 3위에는 ‘2024부산국제록페스티벌’이 자리했다.

그 밖에 ‘뮤지컬’ 분야에서는 브로드웨이 히트 뮤지컬 ‘알라딘’ 한국 초연이, ‘클래식/무용’ 분야에서는 연말 대표 공연인 유니버설발레단 ‘호두까기인형’이 각각 1위를 기록했다.

싱글리스트 강보라 기자 mist.diego@slist.kr

https://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618191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혹시 지금 한국이 아니신가요!?
여행 l 외국어 l 해외거주 l 해외드라마
카테고리
날짜조회
연예원걸 텔미 vs 소시 지 체감 인기 뭐가 더 높았음?409 05.04 18:2010740 1
연예/정리글 판타지보이즈 강민서, 수차례 SOS 수신호 보냄 (+타멤들 소통앱)351 05.04 20:5728341
드영배이도현 임지연은 대단한게 군휴가때도 목격담 엄청 많더라178 05.04 12:0931884 9
플레이브/OnAir3시 산책🌞🚶‍♂️ 달글 687 05.04 14:382701 9
인피니트텔미와이 vs 딜리셔스 104 05.04 11:512578 0
 
마플 배척멤팬으로써7 05.04 01:10 342 0
마플 알페스가 판을 지배하면 오래 못간다 2 05.04 01:09 164 0
괴담출근 보는 사람들 이거 한번해봐바10 05.04 01:09 164 0
진심 절친과의 카톡공개 이런 것보다 위험한 게 위시 버블임5 05.04 01:09 414 0
마플 그냥 맨날 한명만 배척하는거 같은데 30 05.04 01:09 573 0
스엠 피뎁딴거 광야119에 보내면 확인하기는해?5 05.04 01:09 72 0
삼쿠는 누구야?4 05.04 01:08 454 0
마플 ㅇㅅ 그래도 골고루 조합 말아주지 않아...?18 05.04 01:08 571 0
오 숀블 시온이 프사바꿨다3 05.04 01:08 78 0
우리 잼얘하자 05.04 01:08 21 0
마플 아 유사 안먹여준다고 05.04 01:08 74 0
마플 나 올해 큰방 올 때마다 제일 많이 하는 말 있음 05.04 01:07 50 0
마플 솔직히 내가 생각하는 포타는 후회공 도망수 이런건데 2 05.04 01:07 66 0
아직 깨어있는 사람 중에 덕질 고민 들어주실 분..? 4 05.04 01:07 114 0
리쿠 버블.. 그냥 호기심에 해봤다가 …비상임..1 05.04 01:07 224 1
마플 ㄴㅈㅅ 애들도 여론 안좋은거 다 알겠지?1 05.04 01:06 231 0
마플 큰방과 점점 멀어져간다1 05.04 01:06 59 0
마플 근데 보통 저런 정병들은 ㄹㅇ 본인이 싫어하는 조합 안올라오다가 백년만에 올.. 1 05.04 01:06 117 0
합동콘도 옆자리 사람한테 말걸어??1 05.04 01:06 23 0
마플 그냥 너무 이해가안됨5 05.04 01:06 211 0
연예
드영배
일상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