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어요 l 열기
모바일 (밤모드 이용시)
댓글
l조회 348l
스테디셀러 창작 뮤지컬과 국내 최정상 가수들의 콘서트로 공연 업계 흥행이 이어지고 있다. 예스24 티켓 집계 결과, 연간 공연 티켓 판매액은 최근 4년(2021~2024) 연속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페스티벌을 경험하지 못한 뉴 제너레이션이 축제 현장을 찾으려는 수요가 증가하며 밴드 공연이나 락 페스티벌에 관객들이 대거 유입되고 있다. 실제 밴드 사운드의 생생함을 느낄 수 있는 공연 예매가 있던 달에는 전월 대비 티켓 판매액이 상승하기도 했다.

[잡담] 박성훈 출연 '빵야'·NCT 127 '네오 시티-더 유니티'…2024년 예스24 티켓 분야별 1위 | 인스티즈

DAY6, 킹누 등 2024년을 휩슨 ‘밴드 붐’

월별 판매액 추이를 살펴보면, 2024년 통틀어 공연 티켓 판매액이 가장 높았던 달은 10월로 전월 대비 73.1% 급증했다. 59년 가수 인생을 마무리하는 나훈아 라스트 콘서트를 비롯해 K-POP과 트롯 스타들이 총출동한 코리아그랜드뮤직어워즈 티켓 오픈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24년은 밴드 붐의 시대라는 말이 많이 나왔는데, 이는 티켓 예매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K-POP 대표밴드인 DAY6 콘서트 티켓 오픈이 있었던 8월, 일본 간판 밴드 킹 누(King Gnu)의 첫 내한 공연 티켓이 오픈된 1월, 부산국제록페스티벌 티켓이 오픈 된 7월이 티켓 판매액 순위의 뒤를 이었다.

이 외에도 샤이니, 이찬원, 더보이즈, 스트레이 키즈 콘서트 및 NCT127 팬미팅 티켓 등이 차례로 오픈되며 꾸준한 공연 티켓 판매액을 기록했다.

2030세대 72.9%로 공연 티켓 판매액 견인

2023년에 이어 2024년 예스24 공연 티켓 예매를 가장 활발하게 이용한 연령층은 2030세대(72.9%)였다. 20대 비중이 41.9%로 가장 높았고 30대(31.0%), 40대(13.8%)가 뒤를 이었다. 10대 이하 예매자 비율은 6.7%로 전년 대비 2%p 증가했다.

2024년에는 전년 대비 남성 예매자 비율이 증가한 점도 눈에 띈다. 2023년에는 여성 예매자가 남성보다 약 6.5배 많았으나, 2024년에는 여성(73.2%) 예매자가 남성(26.8%)보다 약 2.7배 많았다.

[잡담] 박성훈 출연 '빵야'·NCT 127 '네오 시티-더 유니티'…2024년 예스24 티켓 분야별 1위 | 인스티즈

스타들의 귀환으로 대학로 공연 강세

예스24 티켓 판매 기준, 2024년 공연 판매액 증감률은 전시/행사 310.2%, 연극 151.7%, 콘서트 3.9%, 뮤지컬 0.2%로 분야별로 고른 성장세를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가장 높은 판매 성장률을 보인 ‘전시/행사’ 분야 판매를 견인한 층은 미술관이나 전시 소비의 주축인 2030세대이다. 색다른 전시나 참여형 페스티벌 등이 SNS를 통해 확산되며 2030은 몰입형 전시를 비롯해 페스티벌 예매율에 있어서도 압도적인 비중을 보였다.

대표적으로 2024년 예스24 티켓 판매 전체 랭킹 1위인 ‘이토 준지 호러하우스’ 전시는 MZ세대들이 예매 순위를 견인했다. 20대(54.3%)의 예매율이 압도적이었으며, 30대(26.1%), 10대(11.5%)가 뒤를 이었다. 또한 4위를 기록한 ‘2024 부산국제록페스티벌’의 경우도 2030세대가 전체 예매의 86.0%를 차지했다.

[잡담] 박성훈 출연 '빵야'·NCT 127 '네오 시티-더 유니티'…2024년 예스24 티켓 분야별 1위 | 인스티즈

K-POP 밴드 콘서트부터 한국 초연 뮤지컬, 스타 배우의 귀한 연극까지

2024년 ‘연극’ 분야는 조승우, 박성훈, 황석정, 강부자, 윤유선 등 인지도 높은 스타 배우들의 귀환으로 큰 관심을 받으며 전년 대비 판매액이 151.7% 상승했다. 대학로 공연들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작년 연극 베스트셀러 1위는 배우 박성훈이 7년 만에 연극 무대에 오른 ‘빵야’가 차지했다. 이외에도 독일 문학의 거장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원작으로 한 ‘헤르츠’, 믿고 보는 배우 황석정의 1인극으로 화제를 모은 ‘일리아드’ 등이 5위권 내 포진했다.

이색 전시가 다수 개최되며 전년 대비 판매액이 약 4.1배(310.2%) 급증한 ‘전시/행사’ 분야에서는 공포 만화의 거장 이토 준지의 작품을 몰입형 체험전시로 만날 수 있는 ‘이토 준지 호러하우스’가 1위에 올랐다. 이어 국내 최대 애니메이션 X 게임 축제 ‘AGF 2024’, NCT 127 3번째 월드투어 ‘NEO CITY - THE UNITY’를 소재로 한 스토리텔링 체험형 전시 ‘THE GREAT UNITY’, 일본 인기 만화 ‘강철의 연금술사’를 주제로 한 ‘강철의 연금술사전’ 등이 뒤를 이었다.

‘콘서트’ 분야는 K-POP 아이돌 등 국내 최정상 가수들의 콘서트 및 해외 인기 아티스트들의 내한 공연으로 3.9%의 판매 성장률을 보였다. 2024년 베스트셀러 1위는 스트레이 키즈의 월드투어 〈Stray Kids World Tour dominATE SEOUL〉>가 차지했다. 그 외에 나훈아, DAY6 콘서트가 5위권을 점령했으며, 3위에는 ‘2024부산국제록페스티벌’이 자리했다.

그 밖에 ‘뮤지컬’ 분야에서는 브로드웨이 히트 뮤지컬 ‘알라딘’ 한국 초연이, ‘클래식/무용’ 분야에서는 연말 대표 공연인 유니버설발레단 ‘호두까기인형’이 각각 1위를 기록했다.

싱글리스트 강보라 기자 mist.diego@slist.kr

https://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618191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혹시 지금 한국이 아니신가요!?
여행 l 외국어 l 해외거주 l 해외드라마
카테고리
날짜조회
연예다들 초경하고 키 몇센치 컸어?257 17:272378 0
연예앨범 20만원어치 사는거 많이 쓰는거 아니지??198 12:426254 0
플레이브 갑자기 플둥이들 지역은 이거 뭐라 부르는지 궁금하다 115 6:492702 0
백현/정보/소식 백현 'Essence of Reverie' 예약 판매 안내 58 11:001634 28
드영배/정보/소식 포브스코리아 [2025 파워 셀러브리티 40] 종합 순위42 16:321874 15
 
마플 알페스 안하는데 가끔 알페스트 추천 알림도 뜨더라ㅋㅋ 04.27 10:08 31 0
마플 차애가 자꾸 노림수 행동 하는 게 너무 싫음1 04.27 10:08 140 0
방탄 이때 다 20대 초반이었다는거 안믿긴다4 04.27 10:07 531 0
익들의 집은 내진설계 되어있어?2 04.27 10:06 93 0
'UFC 전설' 김동현, 구론산 모델 됐다… "브랜드 이미지 강화 기대" 04.27 10:05 20 0
괴담출근 대략 스토리 설명해줄 사람 ㅠㅠ2 04.27 10:04 91 0
성찬이 헤어 컨셉이 알파 메일, 프롬킹 이런 거 같은데8 04.27 10:04 1206 2
마플 영통에 태어난 자기 애기는 왜 보여주는거지5 04.27 10:03 200 0
너의 연애 패널 없어서 개좋음1 04.27 10:03 99 0
정보/소식 삼성전자, 'AI 가전 트로이카' 캠페인…김연아·한가인·전지현 재등장 04.27 10:00 92 0
아이브 라이트키링1 04.27 10:00 88 0
정보/소식 김재중도 술 사업 뛰어들었다, 전통주 막걸리 브랜드 론칭1 04.27 10:00 314 0
SNL에서 거울치료 당한 한동훈 ㅋㅋㅋㅋㅋㅋㅋ.swf1 04.27 09:58 279 0
뭐야 주관식당 벌써 다음 주가 끝이야ㅠㅠㅠ?? 3 04.27 09:58 31 0
아 갑자기 재희한테 감겼어5 04.27 09:57 330 0
티모시는 곱슬인데 누나는 생머리네 04.27 09:56 535 0
정보/소식 '선의의 경쟁' 정수빈, 야구선수 정수빈과 첫 만남••오늘(27일) 잠실 시구자 등판 04.27 09:55 86 0
해태 타이거즈때도 지역이 광주였어?2 04.27 09:55 105 0
나 어제 재희 실물처음보고 진짜 충격먹음16 04.27 09:54 903 0
데못죽 2년이 지나도록 아직도 다 못 읽은게 ㄹㅈㄷ13 04.27 09:54 767 0
연예
드영배
일상
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