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창원 범죄과학연구소 소장이 12일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8살 김하늘 양을 살해한 여교사가 범행 후 하늘 양을 찾는 가족을 맞닥뜨린 뒤 “없어요. 나는 몰라요”라고 말한 것과 관련해 “없어요. 또는 몰라요. 라는 식의 대응은 찾아온 사람을 돌려보내겠다. 여기 들어오지 못하게 하겠다는 의지가 반영된 대단히 좀 선택된 단어들”이라면서 “좀 걱정되는 것이 만약에 할머니가 들어오셨다라고 한다면 할머니에 대해서도 위해를 가했을 가능성도 조심스럽지만 상당히 위험한 상태였다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표 소장은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그럴 가능성이 충분하다. 이미 자포자기가 아니라는 거다. 그 대응이 자기 범행을 숨기고 감추고 잡히지 않겠다는 의지가 보인다. 이 상태의 범죄자들은 대단히 위험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표 소장은 “혹시라도 만약에 들어오셨을 땐 어땠을까. 순응했을까. 자기보다 약해 보인다. 이러면 또 공격했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고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진행자가 ‘지금 우울증이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었겠냐, 이런 분석들이 나온다’고 하자 표 소장은 “다른 범죄에서 이야기하자면 술 때문이다, 또는 가정불화 때문이다, 실직 때문이다, 여러 가지 범죄자들은 다 변명거리를 댄다”면서 “이 교사에게는 어떤 이유인지는 모르겠지만 공격성과 폭력성이 있고 그것이 대단히 강하다. 그런 부분들이 결국 이 범행으로 이끈 상당히 직접적 요인”이라고 말했다. 표 소장은 “자기 스스로가 선택을 한 거다. 무슨 병이나 흥분에 휩싸여서 감정적으로 행동한 게 아닌 거다”라고 덧붙였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1/0002689505?sid=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