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별과제 역사상 가장 억울할 사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3/09/10/2/3/a/23a1d0aa57f4830d0ab32c828c45d074.webp)
인류가 처음으로 달에 착륙한 아폴로 11호 미션에는
3명의 우주비행사가 참여했다.
사령관 닐 암스트롱(왼쪽)
착륙선 조종사 에드윈 버즈 올드린(오른쪽)
사령선 조종사 마이클 콜린스(가운데)
![미국 조별과제 역사상 가장 억울할 사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3/09/10/7/1/2/712cd673956e6635cf41d8d04aa2a39c.webp)
1969년 7월 16일 오전 8시 32분
3명의 우주비행사는 달을 향해 출발했다.
![미국 조별과제 역사상 가장 억울할 사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3/09/10/2/e/c/2ece8c0480e38a6894375dc3758b5da6.jpg)
달을 향해 날아가는동안 가장 바쁜 사람은 콜린스였다.
발사용 새턴 V 로켓과 착륙선을 한번 분리하고,
반대 방향으로 돌려 다시 도킹시키고,
새턴 V 로켓 끝단의 연료를 버리고 궤도 밖으로 내보냈다.
또한 장비에 손상을 주는 태양광을 피하기 위해
아폴로 11호를 전기구이 통닭처럼 조금씩 돌리는 컨트롤을 진행해야 했다.
![미국 조별과제 역사상 가장 억울할 사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3/09/10/a/7/e/a7eaff23295cdb4ee537845a570f1c64.jpg)
그렇게 꼬박 3일을 날아
달 궤도에 진입한 아폴로 11호는,
암스트롱과 올드린을 태운 달 착륙선을 분리시켰다.
콜린스는 누구보다도 달에 가까이 왔지만
달에 내리지 못한 채
사령선에 혼자 남아 동료들을 배웅했다.
![미국 조별과제 역사상 가장 억울할 사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3/09/10/a/9/8/a98723213db31c5262af6ac466523028.webp)
암스트롱과 올드린이 달에 착륙하는 동안
콜린스는 급히 사진을 찍었다.
멀리 보이는 지구와 착륙선 안의 두 사람…
그 당시 존재했던 우주상의 모든 인류를 담은 이 사진에
오직 한 사람,
마이클 콜린스 본인만이 찍히지 못했다.
![미국 조별과제 역사상 가장 억울할 사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3/09/10/4/0/d/40d02bb7dd15d4fd98b43843e48110d7.jpg)
암스트롱과 올드린은 잘 내려가는 듯 했으나
도중에 문제가 생겨 원래 착륙지점과 벗어난 곳에 내렸고,
NASA의 휴스턴 본부에서도 한동안 이들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했다.
콜린스 또한 동료들을 찾으려 달 표면을 계속 관찰했지만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그저 멀어져만 갔다.
(이후에 그는 여기서 “무력감을 느꼈다” 라고 말했다)
다행히 약간의 시간이 흐른 후 NASA는 착륙선의 위치를 알아냈다.
![미국 조별과제 역사상 가장 억울할 사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3/09/10/1/8/3/1832a13d462d56244b6879b8bc2bd4f7.webp)
![미국 조별과제 역사상 가장 억울할 사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3/09/10/f/b/f/fbfb896f614ec6a607ec5b1e257b6a14.jpg)
![미국 조별과제 역사상 가장 억울할 사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3/09/10/1/3/b/13b51132a26653f311d6774787bf2d09.webp)
달에 착륙한 암스트롱과 올드린이
달에 기념패를 세우고, 성조기를 꽂고, 발자국을 남기고,
인류 역사상 길이 남을 명언과 최초의 기록들을 만들고,
서로의 사진을 찍으며 달 산책을 즐기는동안
혼자 사령선에 남은 콜린스는 계속 운전을 하며
천천히 달의 궤도를 비행했다.
콜린스는 일단 큰 단계를 하나 넘었다는 생각에
이 시간동안 가장 마음이 편했다고 말했지만,
사실 그리 편하지는 않았고
암스트롱과 올드린이 돌아오지 못하면 어쩌나
혼자 지구로 돌아가게 되면 어쩌나 하는 걱정을 했다고 한다.
![미국 조별과제 역사상 가장 억울할 사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3/09/10/0/6/0/06014b8272caebbdd0a4c4bce665bab4.jpg)
콜린스가 지구와 점점 멀어지며 달의 뒷편으로 가자
NASA 본부와의 통신도, 달에 남은 동료들과의 통신도 끊겼다.
48분간 콜린스는 우주상의 모든 인류와 단절되었다.
아폴로 11호의 임무 일지는 이 시간을
“아담이 태어난 이래의 그 누구도 알지 못할 고독”
이라고 기록했다.
그는 달의 뒷면을 보며 조용히 메모를 남겼다.
“이곳을 아는 존재는 오직 하느님과 나 뿐이다.
온전히 혼자인 이 순간이
두렵지도 않고 외롭지도 않다.“
콜린스는 이후 약 22시간동안
홀로 사령선을 운전하며 동료들을 기다렸다.
![미국 조별과제 역사상 가장 억울할 사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3/09/10/0/2/a/02a8a4eaeb80956276d49ac0dc7861e0.webp)
다행히 콜린스의 사령선과
암스트롱 & 올드린의 착륙선은 무사히 다시 만났고,
아폴로 11호는 지구로 돌아왔다.
(물론 집에 오는 길도 운전은 콜린스가…ㅠ)
![미국 조별과제 역사상 가장 억울할 사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3/09/10/b/d/d/bdd5d63d1f725316e4d27ba6e15475d4.jpg)
나중에 밝혀진 사실이지만
닉슨 대통령은 비행사들이 영영 돌아오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미리 추도문을 작성해 놓았는데,
이 추도문에는 암스트롱과 올드린의 이름만 들어가있다.
“달에 착륙한” 두 사람이 사령선과 도킹하지 못하더라도
사령선에 타고 있는 콜린스는 귀환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미국 조별과제 역사상 가장 억울할 사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3/09/10/b/2/e/b2e07041c2baab7de50e99b830ef7551.webp)
콜린스는 “잊혀진 우주인” 등으로 불리며
암스트롱과 올드린에 비해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정작 본인은 “지구에서 가장 중요한 임무를 수행했을 뿐“이라며 전혀 개의치 않았다고 한다.
진정한 대인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