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7/0/9/70936c8fb39ca9c42bb9703b3b920973.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0/1/6/016e14db737066189ff0fb85dff808ca.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b/7/6/b763450991b8a8d16b35b7e688d75119.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1/9/6/1960ec98400d0e8d6366b1d251d23b3e.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4/d/b/4db60cf8d2de36200d912752564376da.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4/4/2/442ecc7b3b208cb93ca4dad2ede16b7d.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7/d/3/7d34e49d4b804423cfab8a1c404829e8.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e/e/a/eea21fe669793b0a6953fc65d0d4c0d2.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4/3/5/43517280eaa8bad2d810f31ec9406eb2.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a/6/4/a6497a4591ee7795c3b90332d13711c3.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0/d/3/0d3c32fc6db8349fe56b2e24ce6be592.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e/2/d/e2d02ced314d0feb017848dd8b50f350.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b/2/7/b270756c2e16e7b57957f3659d8f3f2a.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6/0/2/602039c3310903255b6a50fa2a4090f6.jpg)
![치매 연구 근황.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01/12/1/5/6/1563960447319e36e99cbbc657aa9b40.jpg)
1. 사람이 머리를 쓰면 뇌에서 노폐물이 만들어지고, 이 노폐물이 뇌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쌓이면
신경세포를 손상하여 치매와 같은 뇌 질환을 일으키는데 지금껏 이 노폐물을 포함한 뇌척수액이
어디로 어떻게 빠져나가는지에 대한 주요 경로를 발견하지 못했었음.
2. 국내 연구진이 이 문제의 경로, 뇌척수액이 뇌 밖으로 빠져나가는 중심 경로를 찾아냄.
3. 뇌척수액은 코 뒤쪽에 있는 비인두 림프관망으로 모이게 되며, 목 림프관과 목 림프절로 이어지면서 뇌척수액을
뇌 바깥으로 빼내는 역할을 하는데 이 비인두 림프관망이 뇌척수액 배출 경로의 허브가 된다는 것.
4. 노화에 따라 비인두 림프관망이 변형되어 뇌척수액 배출이 줄어드는 것도 확인했는데,
목 림프관에는 노화에 따른 변형이 없었고
이를 이용해 목 림프관에 있는 근육세포의 수축과 이완을 약물조절로 유도한 결과
5. 연구팀은 노폐물이 포함된 뇌척수액 배출 조절을 머리가 아닌 목에서 손쉽게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
연구결과의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고, 영장류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뇌척수액 배출 경로를 연구중인데
생쥐와 비슷한 결과를 얻고 있다고 밝힘.
세계적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이번 연구결과가 실렸다고 함.
www.youtube.com/embed/ci4gueATrd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