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야단법석

야단(野壇) : 야외에 세운 단
법석(法席) : 불법을 펴는 자리
즉, ‘야외에 자리를 마련하여 부처님의 말씀을 듣는 자리’라는 뜻
법당이 좁아 많은 사람들을 다 수용할 수 없으므로
야외에 단을 펴고 설법을 듣고자 하는 것
2. 찰나

불교에서 시간의 최소단위를 나타내는 말
1찰나는 75분의 1초(약 0.013초)에 해당한다
그러나 이설도 있다
불교에서는 모든 것이 1찰나마다 생겼다 멸하고,
멸했다가 생기면서 계속되어 나아간다고 가르치는데......(어쩌고 저쩌고)
3. 아비규환

불교에서 말하는 '아비지옥'과 '규환지옥'을 뜻하는 말
4. 단말마

'말마’는 산스크리트어 marman의 발음을 그대로 옮겨 쓴 것으로,
관절이나 육체의 치명적 부분
즉 '급소'를 의미한다
이 말마를 자르면 죽음에 이른다고 한다
5. 다반사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일을 의미
참선수행을 하는 데는 유별난 방법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차를 마시고 밥을 먹듯이 일상생활이 곧 선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상징한다 함
6. 나락

순수한 불교용어 중 하나로 지옥을 달리 부르는 말이다
산스크리트어 naraka(나라카)의 발음을 그대로 옮겨 쓴 것으로,
본래는 밑이 없는 구멍을 뜻한다
7. 살림

절의 재산을 관리하는 일
산림(産林)이라고도 하지만 우리말 유래 사전〉에는 불교용어인 산림(山林)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하고 있다
산림은 절의 재산을 관리하는 일을 말하며,
이 말이 절의 재산관리만이 아니라 일반 여염집의 재산을 관리하고 생활을 다잡는 일까지를 가리키게 된 것이라고 한다
8. 주인공

득도한 인물을 가리키는 말
원래 불교에서 '주인공'이란 낱말을 처음 사용하였을 때에는 득도한 인물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주인공은 외부환경에 흔들리지 않고 번뇌망상에 흔들리지 않는 참된 자아,
즉 무아를 누리는 자아를 일컫는 말이었다고 한다
이것 외에도
탈락, 면목, 무사, 세속, 현관, 건달, 관념, 명복, 아수라장, 이판사판, 도로 아미타불, 전도, 무진장 등등 엄청 많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