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원·이충상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이 지난 11일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CEDAW)에 제출할 독립보고서를 심의하는 과정에서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를 다 알고 있는 데 자꾸 (얘기를) 꺼내서 우리가 얻고자 하는 게 무엇이냐”는 등 발언을 한 것이 알려지자 시민사회단체들이 12일 “반인권적 망언”이라고 강하게 규탄했다.
한국여성단체연합 등 여성·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11일 국가인권위원회 제5차 전원위원회 휴정시간에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 독립보고서 조속히 통과시켜라” 등 손팻말을 들고 있다. 전지현 기자
한국여성단체연합 등 80여개 단체는 이날 성명을 내고 “상임위원으로서의 역할을 망각하고 있는 두 상임위원을 규탄한다”며 “공식석상에서의 반인권적·반여성적 언행을 당장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사설]‘일본군 성노예 타령’ 망발한 김용원, 인권위원 자격 없다
인권위는 전날 전원위 회의를 열어 ‘유엔 여성차별철폐위원회(CEDAW) 대한민국 제9차 정부보고서 심의를 위한 독립보고서(안) 채택’ 안건을 심의했지만 김·이 두 상임위원의 반대로 의결하지 못했다. 지난달 27일 전원위에서 안건이 논의되지도 못한 채 폐회된 것에 이어 두 번째 무산이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32/0003284478?ntype=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