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높은 세금
타지역 보다 빠른 근대적 경제성장과 전후 부흥이 끝난후
부양해야할 늙은 노인들이 빠르게 늘어나
초고령화에 일본과 함께 가장 빨리 진입했고
그에 따른 사회 전체의 생산성이 하락하며
장기 저성장에 진입한 서유럽 북유럽 주요국 모두 0% 대
성장률을 보여주게 되어 소득이 비슷했던 미국과 이제
격차가 유럽이 42440달러,
미국이 85370달러로 2배 이상 커지게 됨.
그럼에도 한번 준걸 뺏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게 복지의
난점이라, 세금은 계속 올라가기 시작해서 현재 유럽의
[독일 vs 한국 450만원 받았을시 실수령액 비교]
평균 부가가치세는 20~25%, 소득세는 중산층 기준 40-50%
이상을 뗀다고 생각하면 편할 정도이며 알바나 하는
서민층도 20-30%는 내야하는 수준임.
그래서 유럽 세후소득은 선진국 수준으로 올라온
한국이 보기에 상당히 낮은 수준인데
프랑스 국립통계청 자료가 발표한 프랑스인 세금을 제한
월급 백분위를 보면 이러한데:
1500 유로 미만 (220만원 미만) : 인구 18.6% (상위 81.4%)
1500유로 이상 - 2000 유로 미만 (220만원 이상 - 294만원 미만) : 인구 30.8% (상위 50.6%)
2000 유로 이상 - 2500 유로 미만 (294만원 이상 - 368만원 미만) : 인구 19.0% (상위 31.6%)
2500 유로 이상 - 3000 유로 미만 (368만원 이상 - 442만원 미만) : 인구 10.9% (상위 20.5%)
3000 유로 이상 - 4000 유로 미만 (442만원 이상 - 590만원 미만) : 인구 10.6% (상위 9.9%)
프랑스인 50% 약 절반이
월급 294만원 미만으로 살아가고
프랑스인 90% 이상이 590만원 미만이란
얘기로 미국이랑 큰 격차는 물론이요 한국 대비해서도
그리 높은 수준은 아님.
2. 높은 월세
한국이 월세가 비싸다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사실 유럽 주요 대도시에 비하면 저렴한편임.
프랑스 파리의 경우 평균 월세 가격이 무려 227만원이고
그외 지방도 최소 100-130만원은 줘야함. 근데 앞서 말했
듯이 프랑스 인구 절반은 월 294만원 미만으로 살아감.
파리에서 살려면 세후 소득의 77% 를 내야되고
눈을 낮추고 지방으로 내려가더라도 월세로만 세후 소득의
33-45% 이상 뜯길 각오를 해야한다는것.
3. 높은 생활비
그러면 꼭 "유럽 시장 식료품비는 한국보다
싼데" 이런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아프리카 극빈국도 아니고
진짜 월급 대부분을 시장 보는데만
쓰는 사람은 적음. 유럽이 비싼쪽은 유틸리티
비용이라 불리는 전기세와 수도세.
그리고 인건비가 포함되는 외식비인데
그래서 독일인들의 45% 는 한달에 1번,
34.5% 는 한달에 2-3번 외식을 하는편임.
즉, 대다수 유럽인들은 외식을 한달에 1-3번 정도로
제한하며 매우 아껴사는편임
그럼에도 세금, 월세, 전기세, 수도세, 가스세등 필수적으
로 나갈수밖에 없는 고정지출을 다 빼고
남는 2023년 기준 한달 저축 가능 금액은
프랑스는 260유로 즉 38만원 가량이고
독일도 마찬가지로 월 260 유로, 38만원이라고 하니
1년 내내 일해봐야 저축 금액은 기껏해야 450만원 수준.
이런식으로 평생 해도 파리, 뮌헨, 프랑크푸르트 같은
대도시의 20-30억원에 달하는 집을사거나
[뮌헨 주택 가격 218만유로, 한화 32억원]
목돈을 모아 재테크를 해서 자신의 경제적 계층이나
신분 상승을 할 가능성은 매우 희미하니
그냥 처해진 현실에 사실상 체념하고
사회 지위 상승이나 변화를 포기한후 현재를 즐기는
소위 가붕개 스러운 태도로 바뀐것. 실제로 스웨덴의 경우
도박을 하는 성인 인구가 3분의1에 달하고
핀란드는 41% 에 달함. 신분 상승 방법이 그거밖에
없기 때문.
게다가 서북유럽 대부분 국가는
일본과 같은 초고령화 국가라 어차피 젊은 세대가
쪽수로 밀려 투표에서 표싸움에도 밀리는만큼
늙은 세대가 원하는 복지, 연금 부분에서 우선권을
무조건 내줘야하기에. 내년에 초고령화로 진입하는
한국에도 여러가지 시사점을
주고 있는 현 유럽의 트렌드라고 하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