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습니다 l 열기
언더캐이지ll조회 9087l 5

소울드레서는 우리가 함께 만들어가는 소중한 공간입니다. 
댓글 작성시 타인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주세요.



편의상 음슴체로 작성하긔


https://m.ytn.co.kr/news_view.php?s_mcd=0108&key=201607060034355733&pos=


우리나라서 지진 발생, 탁자 밑으로 숨으면 안 됩니다

■ 김진두 / 과학기상팀 기자[앵커] 그러면 이번에는 과학기상팀 김진두 기자와 함께 울산 해역 지진과 관련해서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지진 규모 5.0입니다. 과거 사례

m.ytn.co.kr





이 기사 이후로 많은 사람들이

우리나라는 콘크리트 건물이 많아서
건물이 무너지면 책상도 소용 없으니
무조건 빨리 밖으로 나가야겠구나!


라고 많이들 생각하는 것 같은데
전혀 사실이 아니며 아주 위험한 생각임


일단 지진 행동강령을 보면 어떤 매뉴얼에서도
책상, 탁자 등 몸을 숨길 수 있는 곳으로 들어가라고 함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책상 밑에 들어가는 이유는
건물 붕괴에서 몸을 지키자는 이유도 있지만

지진이 일어났을 때 건물 안에 내가 있을 경우
제일 조심해야 할 건 낙하물

낙하물에 안 맞게 책상 등의 밑으로 들어가라는 것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이게 당장 2월 13일 지진임
만약 작은 물건이 아니라 머리 위 형광등이었다면?
무거운 책이 가득 쌓인 책장이 나에게 쏟아진다면?

지진이 일어나면 건물 안에 서 있는 가구들
책장, 장식장, tv, 에어컨 등등 온갖 가구가
전부 흉기가 된다고 생각해야 함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3348379


[대피 요령] ③ 집안에 있을 때 지진 나면?…일단 탁자 밑으로!

집 안에 있을 때 지진이 발생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지진 발생시 탁자 아래로 피하는 이유는? 결론부...

news.kbs.co.kr





매뉴얼은 100% 살 수 있는 방법이 아니라
위기 상황에서 가장 확률 높게 살 수 있는 방법임

강진이 발생해서 건물이 붕괴해 깔려죽을 확률보다
내 머리 위로 유리 조명이 떨어지고
텔레비전이 와장창 깨지면서 날 덮칠 확률이 훨씬 높음
그러니 탁자 등으로 머리와 몸을 보호하라는 것



그래도 건물이 무너지면 어떡해?ㅠㅠ
책상 밑에 숨기보다 얼른 뛰어나가는 게 맞지 않을까?
라는 걱정을 많이 할 텐데

(‼️‼️‼️밑에 큰 지진에 흔들리는 짤 있음
지진 트라우마 있는 사람 주의‼️‼️‼️)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이사람 방송국 기자고
뉴스에다 대고 설명하느라 이렇게 서있는것임
실제론 절대 이렇게 서있으면 안됨‼️)


우리나라에서 건물이 무너지려면 이 정도는 흔들려야 무너질 텐데
이렇게 흔들리는 강진 속에서 빠르게 움직일 수도 없음
애초에 저 기자 보다시피 가만 서있기조차 불가능함
떨어지는 물건들 사이에서 일단 몸부터 지켜야 됨



+ 건물이 무너져도 책상 밑에 숨는 게 비교적 안전하다는 주장
(공인된 매뉴얼은 아니니 참고 정도로만 읽어주시길)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병참과의 총기봇��️‍🌈��️‍⚧️ on Twitter

“국내에서는 한 때 '국내의 건축물은 콘크리트가 많아서 책상 아래로 숨으면 잔해에 깔려서 죽으니 지진이 나면 바로 뛰쳐나가야한다'는 루머가 돌기도 했는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전혀

twitter.com







++일본의 건물이 대부분 목조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와는 매뉴얼이 다르다는 말에 대한 통계 반박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근거에 의한 과학 on Twitter

twitter.com







+++ 마지막으로 찐 지진 전문가의 반박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한국에선 지진이 발생했을 때 책상 밑에 숨지 말고 바로 밖으로 나가야 할까? | 인스티즈




https://news.kbs.co.kr/mobile/news/view.do?ncd=3348379


[대피 요령] ③ 집안에 있을 때 지진 나면?…일단 탁자 밑으로!

집 안에 있을 때 지진이 발생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지진 발생시 탁자 아래로 피하는 이유는? 결론부...

news.kbs.co.kr







결론
한국이든 일본이든 어느 나라든
건물 안에 있을 때 지진이 발생한 경우
책상 밑에 들어가서 낙하물에서 몸을 보호한 후
흔들림이 멎은 다음 재빠르게 이동하는 것이 정석임



추천  5


 
👍
16일 전
Michael Scott  DUNDER MIFFLIN
와 여기서도 책상 밑으로 숨는 거 틀린 거라고 말하는 사람들 널렸었는데 어쩐지.. 원래 알고있는 게 맞는 거였어
16일 전
초록나무숲  아이스크림
흔들림이 멈춘 다음에 대피
16일 전
😲
16일 전
군것질이  너무나 하고싶어
👍
16일 전
만약 책상이 없으면 옷장에라도 들어가는게 맞을까요..?
16일 전
와 어제만 해도 익잡에 책상 밑으로 들어가면 안 되고 일본은 목조주택이라서 그렇다는 댓 엄청 많았는데.... 다들 제대로 된 수칙 다시 한 번 기억하시길
16일 전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카테고리
  1 / 3   키보드
닉네임날짜조회
이슈·소식 현재 유튜브 테러 당하는 중인 임영웅261 민희진의 배임10:4645775 2
이슈·소식 국민 대다수가 뭐에 씌었던게 틀림없던것 같음류 甲173 Wannable(워너06.29 22:02105357 8
팁·추천 공차 재출시하는 음료 2종127 Side to Side06.29 23:4497968 0
이슈·소식 강수지는 마츠다 세이코랑 성질이 너무 달라요. 강수지는 한번도 국민적으로 애틋한 대..192 짱진스5:5362027 47
이슈·소식 현재 빠르게 망하고 있다는 업계92 NUEST-W06.29 21:39133577 4
[복면가왕] 이석훈 - 안아줘 맠맠잉 06.16 17:00 24 0
주갤러의 몽골 여행 썰6 wjjdkkdkrk 06.16 14:01 8327 0
은밀한 커넥션으로만 맛볼수있는 최상급 고춧가루, 들기름, 참기름.twt 이차함수 06.16 13:48 1817 1
아 개웃겨 언니 유학생인데 교양 뭐듣는지 알아?20 311324_return 06.16 13:05 30758 11
더 큰 세상이 있다. 한치 앞만 보지 말거라.twt 311354_return 06.16 13:00 2201 0
프랑스 패턴 장인이 선보인 신상 제품들 게임을시작하 06.16 12:04 7284 1
(트위터)내 안에서 디올 이미지 spc랑 동급됨.twt 유난한도전 06.16 11:03 4790 2
별 내용 없는데 많은 사람들이 인생 영화로 꼽는 영화.gif6 데이비드썸원 06.16 11:02 8954 1
인생네컷에 사진 붙여놓고 가는거 조심해야되는 이유97 헤에에이~ 06.16 10:57 95331 4
웹툰 제작사와 애니 제작사가 같은 경우5 고양이기지개 06.16 09:58 9635 2
여름에가면 엄청 더운 아시아3 게임을시작하 06.16 09:56 4373 1
넷플릭스를 처음 각인시킨 프로그램이 뭐였어?5 311103_return 06.16 09:43 1594 0
인생마라탕집 소개ㅠㅠ6 큐랑둥이 06.16 08:57 5141 1
역대 영화제 트리플 크라운 달성자 (청룡 + 대종 + 백상) 이등병의설움 06.16 08:56 1613 1
인사이드아웃2 보면 좋을 사람.X150 류준열 강다니 06.16 08:48 91270 16
아저씨들한테 키싱부스 추천하는 유연석18 311095_return 06.16 07:25 18663 7
중학생 아들 가을 소풍 도시락6 06.16 05:51 4323 1
90년대 이상만 아는 익숙한 목욕 용품16 게터기타 06.16 02:57 13640 0
[추억의팝송추천] gotye - Somebody That I Used To know.. 세기말 06.16 02:51 28 0
대리운전 부를때 꼭 체크해야하는 것2 꾸쭈꾸쭈 06.16 02:27 174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