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제일 주목 받고 있는
미국의 독립 영화 제작배급사 A24
대표작으로는
,
,
, ,
등이 있음




A24는 감독의 전권을 보장해주면서
독창적이고 마이너한 예술 영화 필모를 쌓음
그 덕에
A24는 믿고 본다는 팬층도 확보하고
이제 마니아를 넘어서 대중한테도 꽤 유명한 영화 제작배급사가 됨
이 A24가 또 유명한 게 바로
“개비싼 판권가”임
여기서 영화 수입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해외 영화를 한국에서 상영(개봉)하고 싶으면
해외 영화의 판권(저작권)을 사야됨
이 판권을 사는 비용 판권가
원래 판권가는 대외비지만
A24의 판권이 너무 비싸서 못사겠다고
말이 처음 나온 건 《씨네21 - 2021년 4월 1300호》 수입사 관계자 대담 에서 였음
(결국 는 진진에서 수입했음
아마도 이 영화가 너무 좋으니까 꼭 국내 관객에게 보여주고 싶어서 이 악물고 수입한 게 아닐까 싶음 ...)
그리고 이번에 를 국내 수입한 배급사 찬란의 대표의 인터뷰에서 또 A24 판권 이야기가 나옴
http://magazine.kofic.or.kr/webzine/web/2397/pdsView.do


칸에서 을 보고 너~무 좋았지만
수입은 자신 없었음
왜냐면 의 세일즈사 (배급사가
맡음) 가 A24 였기 때문에 ... 악명 쩔
A24는 어떠한 협상이나 네고 없이
무조건 자기들이 요구하는 금액을 받아야지
판권를 팜
일반적으로 영화 판권가는
배급 범위나 마케팅 범위 등 여러 변수에 의해 달라지기 때문에 협상이 필수적임

영진위에서 올린
외국 영화 수입 업무 매뉴얼에도
협상이 필수라고 언급

A24는 협상도 안되는데 개비쌈
그래서 국내 다른 수입사는 시도도 못 함
(영화종사자면 다사고는 싶어 했을거같음... )
찬란이 2달 동안 투자처 구해서 구매한 듯
만약에 찬란이 포기했으면
을 극장에서 보지 못했을수도...
그리고 이 인터뷰에 추가로 언급된
수입 실패 일화 ...

켈리 라이카트 감독 ( 감독) 이 국내에서 인지도가 꽤 있는데도 불구하고
신작 이 정식 개봉 없이 영화제 상영만 하길래 의아했는데 이런 사정이
심지어 2022년 부국제 때는
북미 개봉 아직 못했다고
부국제 상영도 허락 안 했었음
자기네 영화에 대해서 까탈스러운 듯
2022년 부국제 집행위원장이 인터뷰 보면
완전 갈망템이었는데
못 들고와서 한 는 것도 남아있음

(은 북미 개봉 이후
2023년 서울국제여성영화제때부터
여러 영화제에서 상영됨)
근데 내가 의문스러운 건
예술 영화의 판권을 협상 없이 비싸게 파는 게 (여러방면에서) 괜찮은가? 이거임
1. A24 입장에서, 제작비 회수가 가능한지?
예술 영화는 애초에
한 국가에서 돈을 쓸어담으려고 만든 영화도 아니고 그럴수도 없음
예술 영화의 소비자는 전세계에 골고루 퍼져있는 씨네필이기 때문에
결국 해외에 판권을 팔아서 제작비를 회수해야한단 말임
근데 지금 A24는 비싼 판권에 협상도 안해서 판권 자체를 못파는 경우도 있을텐데
이렇게 거만하게 굴어도 돈벌이에 상관없는지
(사실 판권가를 너무 후려치지 않는 선에서는 판권 파는 게 이득이지 않은지)
2. 수입사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게 아닌지?
수입사에게 비싸게 판권 팔아넘긴다는 게
자기들은 손해 절대 안 보겠다는 거고
비싼 판권비 메꾸려면 수입사만 등골 휘는건데 흠
3. 관객 입장에서, 보고싶은 영화 못 봄
영화 수입 자체가 어려우니까
2번 3번을 같이 보면
A24가 비싸게 판권을 판매를 하면
수입사가 부담을 떠안고
관객이 영화를 보지 못하게 되는데
이 흐름 자체가 영화 산업에 부정적인 듯
1. 판권가를 내리지 않는 것이
A24 영화에 대한 정당한 권리나 댓가를 중시하는 태도일수도
실제로 A24는 직원 및 제작진 대우가 좋은 편이라는 소문이 있음
2023년 할리우드 배우조합 파업 때도
미국의 제작사 중 A24만
배우 조합의 합의안을 모두 수용할 의지가 있다고 입장 밝히고 촬영 재개함
+ 네임드 감독들도 A24가 좋은지 꾸준히 계속 같이 작업함
하여튼
A24 작품이 국내 개봉도 많이 하고
브랜드 이미지 자체가 힙한데
수입사 사이에서는
판권에 대해서 꼬장꼬장한 걸로 유명한 게
너무 흥미돋이라 글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