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https://instiz.net/pt/7590933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어요 l 열기
모바일 (밤모드 이용시)
댓글
wjjdkkdkrkll조회 28948l 23
이 글은 10개월 전 (2024/8/14) 게시물이에요
많이 스크랩된 글이에요!
나도 스크랩하기 l 카카오톡 공유
현재 영상산업 전문직들 상황 | 인스티즈


 
   
아니 그래서 이유가 뭐나규
10개월 전
국가 예산 지원금이라는게 있는데 그게 확 ..
대놓구 확 줄음. 국가 예산으로 존속하는 업계냐 하면 그건 아닌데
방송국부터가 국가 예산으로 먹고 사는 애들 (티비 수신료)이 많아서 그게 아래로 흘러야 함에도 흐르지 못함.
공중파라고 다 방송국에서 만드는게 아닙니다.
대다수가 외주작업이고 외주사들은 지네가 만들어서 방송편성 잡아주는데에 팔아먹기도 하고 그러는데
그게 지금 거의 경직되어 있다고 하더라구요.
실제 ott 드라마 외 올해 드라마 생각나는거 있으실가요.ㅎㅎ 없을걸요..
예능도 그렇고,
영화도 그렇고 (단편영화제나, 예술영화같은건 생각보다 진흥위 예산으로 많이 움직입니다.)

근데 영화계만 그런거 아니구
가뜩이나 한줌인 이공계열도 난리났어여 ㅎㅎㅎ
신도시가면 몇년전 분양해서 아파트값 미쳐 날뛰는 동네도 상가 다 공실이구...
전반적으로 다 죽는 소리 나오고 있네요.

10개월 전
자유인  창살없는 감옥
😥
10개월 전
특정 정당 옹호 비방은 아닌데 박->문 때도 영상 산업 지원 확 줄이고 정부사업 줄었었고 영상 업계 한번 휘청였었음
회사 부도난다 폐업한다 했었고 결국 우리 회사까지 영향와서 ㅋㅋ
경영난으로 비자발적 퇴사하고 아예 직종 바꿔버림 정치에 엄청 좌지우지하는구나 싶어서

10개월 전
그나마 지금 OTT 관련쪽에 있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공영방송 같은 곳의 예능 드라마 지원이 줄어드니까 갈수록 일 줄어들고 있긴 해요 ㅋㅋㅋㅋㅋ 작년 말 올해 초에 구조조정 들어간 회사들도 많고 연차 찬 피디들도 잘리고 예산 줄어서 프로그램 엎어지고ㅎ...
10개월 전
친척이 영화쪽 일도 하고 영상편집쪽 일 했는데 유튜브 생기고 나서부터 단가가 진짜 완전 낮아졌다고 그랬어요 그분도 그냥 접고 다른 일 하면서 살고 있네요
10개월 전
현정권의 쓰레기 같은 짓은 둘째 치고서라도
미디어산업 자체도 스스로 반성을 할 필요는 있습니다.
유튜브가 더 재밌는데 2만원 가까이 되는 돈을 주고 영화를 볼 이유가 없어요.
심지어 2만원 주고 봤더니 뭔 외계인+ 이런거면 누가 영화를 보러 가겠습니까.
그리고 한국영화 특유의 웅얼대는 음향녹음.
파묘도 재미있었고 잘 만든 영화였지만 음향은 정말 개쓰레기였습니다.

10개월 전
(본인이 직접 삭제한 댓글입니다)
10개월 전
한국영화의 고질적은 대사 뭉개는 녹음 때문이죠
파묘 특성상 낮게 읊조리는 대사가 많은데
특히 마지막에 오행으로 일본귀신 잡아내는 부분은 반 이상 뭉개져서 못알아들을 정도였어요

10개월 전
돈 덜들이고 재밌는 컨텐츠 가득한 유튜브의 득세와
굳이 영화관 안 가도 한편값도 안 되는 비용의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ott 탓 아닌가???
결국 돈 문제 같은데.. 적은 비용 양질의 컨텐츠를 선택하게 되는 소비 심리.
아님 나는 잘 모르는 지원금이나 보조금이 많이 줄은건가??

10개월 전
전문직 맞아?
10개월 전
자이언트펭수  EBS 연습생
그놈의 예산예산예산….
10개월 전
지금 제작중인 영화 많은데...? 촬영 들어간것도 있고 얼마전 끝난것도 있고 아직 프리프로덕션인것도 있고 전부 상업임
10개월 전
Yuna kim  피겨의미학
헛소리 그자체 그냥 현 정부 혐오글
이전 정부도 비슷한일 있었는데도 대비한건 있었나?

10개월 전
정부탓만 할게 아니라 다른 요인도 있을것 같은데..
유튜브 컨텐츠 쏟아지면서 영화 잘 안보게 됨
물론 개인과 스튜디오가 만드는 작업물에 양질 차이 큰건 맞지만, 최근 보러 간 영화가 '도대체 이 내용은 숏츠 제작자가 만드는 스토리와 다를게 뭔가?'란 생각이 들었음. 앞으로도 영화관 잘 안가게될 듯....

10개월 전
개인적인 생각은 스마트폰 보급이 큰 영향을 준거 같아요.
예전에 할 일이 없으면 다같이 거실에 앉아서 tv를 봤다면, 지금은 각자의 공간에서 개인 스마트폰으로 시청하니까요.
굳이 거실에 나와서 tv를 본방사수할 이유가 없어졌어요. 무엇보다 요즘 유튜브나 ott같은 플랫폼 덕분에 시간과 장소에 크게 제약 받지 않고 내가 편한 때에 콘텐츠를 볼 수 있어요.
또 예전에야 방송국에서만 콘텐츠를 만들었지, 요즘은 전문적인 직업을 가지지 않은 사람도 쉽게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어요. 자본이 적어도 재미있는 아이디어가 돋보이는 콘텐츠가 많아요.
마지막으로 현재 방송국의 수직적인 분위기도 한몫하는 거 같아요. 위에 있는 고인물분들의 생각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지 않았으면 해요. 지상파인데도 시대에 흐름에 맞지 않는 부분을 보면 눈살 지푸려져요.

10개월 전
인류문명 역사상 그 어느때보다 개개인의 경제력, 사회적 계층과 관계없이 영상을 많이 소비하는 시대에 지원 예산 없어서 힘들다는 건 좀;
재밌기만하면 방구석에서 스마트폰으로 찍은 컨텐츠라도 소비하는 게 요즘 트렌드이고 시장의 변화인데
산업의 변화와 트렌드에 따라가지 못하면서 예산탓 정부탓 하는 건 보기 좋을 수가 없음
라디오가 예산 없어서 TV랑 영화에 파이 뺐겼나? TV 프로그램, 영화 제작자들이 예산 없어서 유튜브랑 OTT에 파이 뺐겼다는 소리 밖에 안되는데 설득력 제로임

10개월 전
솔직히 ott나 유튜브 등 플랫폼이 주는 영향은 코로나 전에도 있었고요 제일 큰 타격은 국가지원예산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놈의 예산 진짜 다 어디로 간걸까요. 영상이나 콘텐츠쪽도 그렇고 연계사업지원이랑 환경분야도 진짜 0원이에요 0원. 국가예산 못받아서 다른데서 후원받고 그것도 못해서 접은곳 진짜 많아요. 정말 여러이유가 있겠지만 개인적으로 직접 받는 지원사업이 기초적이라고 생각합니다.
10개월 전
22
10개월 전
진짜 일 많이 줄었어요.. 지금 1년 가까이 일 없다고 그만두겠다는 지인들도 많고 참 속상하네요ㅠㅠ
10개월 전
출처도 근거도 없고 글 내용에조차 알맹이도 없는 본문에 뭘 공감하라는 건지 모르겠네
댓글까지 봐도 결국 결론은 정부야 돈 줘 이건데 기존 tv 수신료로 먹고사는 방송국들 영향력은 줄고 이젠 아예 tv조차 놓지 않는 집들도 있어서 원래 반강제로 걷어가는 수신료 납부도 거부하고 있고 전부 스마트폰으로 자기가 보고 싶은거 알아서 찾아보는 유튜브와 OTT, 거기에 스스로 숏폼 영상을 만들어서 돌려보는 틱톡 시대에 무슨 돈을 내놓으라는 건지 ㅋㅋㅋ
옛날같이 tv나 영화관 밖에 작품 보여줄 수 있는 창구가 없는 시대도 아니고 오히려 개인화돼서 정부 입김은 줄어들고 OTT 간 전쟁 붙어서 좀만 잘 만들어도 해외 자본에서 사겠다고 달려드는 판에 정부 지원 없어서 작품 못 만든다는 말은 그냥 본인 역량이 딸려서 본인은 상업성도 경쟁력도 없는 가치 없는 작품만 만든다는 자기고백 아닌가?

10개월 전
서강우  희운이🖤
그런데 진짜 지원 예산은 심하게 줄었어요..
영화제 관심있는 분들은 아실 거예요
예산이 줄어서 아예 영화제 사라진 곳도 있고요
사실 대부분의 상업 감독들이 독립영화를 거쳐갑니다
이렇게 아래부터 뿌리 뽑아내듯 없애버리면 다음 영화시장을 이끌어갈 사람도 적어지겠죠 .. ㅠ

8개월 전
(본인이 직접 삭제한 댓글입니다)
8개월 전
전문으로 하면 관련사업 전문인력 맞지
이건 리터러시를 못읽는 본인 어빌리티를 탓하시길

8개월 전
(본인이 직접 삭제한 댓글입니다)
8개월 전
ㅎㅎ그러니까 본문에서 글쓴이가 얘기하고자 함이 진짜 ‘전문직‘ 이겠냐고 되묻는거였는데
너 컨텍스트 잘 못 읽냐고 물어본건데 ㅋ또ㅠ이렇게 디테일하게 답변달아준거보니 많이 긁혔구나 ㅋㅋㅋ휴... 아 리터러시라는 걸 정확히 모르나.... 나도 너처럼 구구절절 설명해줘야하나.....
단어 하나하나 따져가며 잀지말고 컨텍스트 전반적으로 읽어가며 쉬엄쉬엄 살자ㅋ 너 피곤하겠다 애야

8개월 전
나도 전문인력과 전문직은 차이가 있다고 생각.. 다들 문맥상 대충 알아듣기야 하겠지만…
8개월 전
와... 예산 안 줄인곳이 없네.. 모아논 세금 까지 다썼는데 그 돈이 다 어디로 간거냐..
8개월 전
아니....영상산업이 뭐 신생 산업도 아니고 보조금으로 돌아갈정도면 좀 문제있는거 아닌가 그렇게 실력이 좋고 하면 외국에서 데려다 쓰겠죠..
7개월 전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혹시 지금 한국이 아니신가요!?
여행 l 외국어 l 해외거주 l 해외드라마
카테고리
  1 / 3   키보드
닉네임날짜조회
이슈·소식 좀 기괴하다는 에겐테토 밈 작가 최근 인스스.JPG121 우우아아07.08 22:4979129 3
유머·감동 초딩이 차 긁어 놓고 이렇게 해두고 감.jpg95 요리할수있어0:5359655 0
이슈·소식 🔞노골적인 코드로 난리났었던 속옷 캠페인 (후방)193 우우아아07.08 21:1596347 15
이슈·소식 전북 소상공인 코스트코 익산점 결사 반대90 유알포미07.08 19:1866517 0
이슈·소식 [단독] 잡코리아·알바몬 개인정보 다크웹 판매 정황…비밀번호 포함74 사건의 지평선..07.08 20:3859436 0
사이 좋아보이는 김가영, 최아리, 박하명 기상캐스터16 차서원전역축하 02.01 02:20 16049 0
한국이 망해가고 있다는걸 여실히 보여준 행사97 zxer1.. 02.01 02:10 99644 0
사람들이 생각하는 주사놓기 좋은 혈관과 실제 선호 혈관5 요리하는돌아이 02.01 01:48 15793 1
데이트통장이..왜 필요하지..?1 베데스다 02.01 01:48 6076 0
이재명 여성정책 '연대관계인등록제도 도입'1 31135.. 02.01 01:48 1017 0
추영우가 팔로잉한 게임비제이 인방 썸네일100 류준열 강다니엘 02.01 01:48 79395 0
경찰, 전한길에 스마트워치 지급5 태래래래 02.01 01:47 8134 0
스타벅스에서 판매하는 변비약3 한 편의 너 02.01 00:05 11482 0
중증외상, 옥씨부인전 출연한 추영우의 인스타그램 팔로잉 목록24 숙면주의자 01.31 23:34 20651 1
블라) 미국에서 14년 일한 사람이 알려주는 미국의 현실5 이시국좌 01.31 22:15 21088 1
엔비디아가 삼성보다 하이닉스를 좋아하는 이유 (+안드로이드)8 qksxk.. 01.31 21:24 14760 1
[나폴리탄] 국가 ""을 여행하는 여행객들을 위한 주의사항2 카야쨈 01.31 20:37 1137 0
화장 지우는 뉴진스 혜인 영상에 달린 댓글82 sweet.. 01.31 20:22 40353 12
미국 주식 우리끼리만 알자 ㅋㅋㅋ5 31132.. 01.31 18:33 11525 0
야식이 몸에 안 좋은 이유1 장미장미 01.31 18:07 3917 0
혼성그룹 KARD 해외인기 근황17 01.31 18:02 18692 4
넷플릭스 시리즈 박보영X최우식 멜로무비 공식 예고편 공개 30862.. 01.31 17:01 512 1
미국에서 차세대 호러 거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영화 감독 3인.jpgif1 어니부깅 01.31 17:01 1410 0
거북목 특징.twt4 한 편의 너 01.31 16:49 9156 0
부승찬 : 경호처는 이벤트 회사가 아니죠?1 Twent.. 01.31 16:19 2796 0
이슈
일상
연예
드영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