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55/0001191147?sid=102

"다 죽었다" 2,600만 마리 '둥둥'…역대 최대 규모
길어진 더위 속에 바닷물의 온도가 식지 않으면서 양식 어민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경남에서만 양식 어류, 역대 최대 규모인 2천600만 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데 피해액이 560억
n.news.naver.com
고온으로 집단 폐사
https://www.bbc.com/korean/international-65869662

해양 산소 농도가 떨어지면서, 어류의 미래가 불확실해졌다 - BBC News 코리아
'산소가 부족하면, 다른 문제는 안 중요하다. 다른 동물처럼 어류도 숨을 쉬어야 살 수 있다.'
www.bbc.com
고온 => 빙하 녹아서 => 바닷물의 밀도 변화 => 심해 산소 관리 어려움 => 심해 어류 감소
고온 => 용존산소량 감소 => 어류 감소
잘 안알려진 사항은 식량 생산으로 사용되는 비료가 바다로 흘러들어가 => 바닷속 박테리아 증가 => 이넘들이 산소를 소비함 => 산소감소 => 어류 감소
어류가 줄면 당연히 먹이사슬로 인해 다른 동물들도 줄어듬. 특히 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