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부터 깨우쳐야 외국어 배우기 가능
조선시대 "중국어" 교재
(1670년)
老乞大諺解
고려 시대부터 전해온 중국어 학습서를 개편해서
노걸대에 한글로 중국어 독음을 달고 번역한 활자본.
![조선시대에 외국어를 배운 방법.txt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0/14/e/5/3/e5395beae60e2cf5c35aa0c73ccd705c.jpg)
조선시대 "일본어" 교재
(1676년)
[첩해신어] 捷解新語
강우성이 저술한 일본어 교습서
강우성은 임진왜란 당시 일본에 납치됐다가 10년후 풀려나 조선에서 통역관으로 일했다
![조선시대에 외국어를 배운 방법.txt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0/14/d/2/4/d2460c933158a005f1c9ba48e3daea76.jpg)
조선시대 "청나라 만주어" 교재
(1704년)
淸語老乞大
최후택이 저술, 조선시대 통역관들의 만주어 교재
![조선시대에 외국어를 배운 방법.txt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0/14/6/f/0/6f02a726015504dc92e595028dafa799.jpg)
조선시대 "몽골어" 교재
(1741년)
蒙語老乞大
이최대가 저술, 조선시대 몽골어 교재
![조선시대에 외국어를 배운 방법.txt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0/14/e/1/3/e13acbc35d01d24895f3ffce012e88c7.jpg)
대한제국 시대의 "잉글리쉬" 교재
(1908년)
아학편 (兒學編)
정약용이 집필한 어린이 한자교재"아학편"을 기반으로
1908년 지석영,전용규가 영어,일본어,중국어 독음을 추가하여 재구성한 영어 교재
![조선시대에 외국어를 배운 방법.txt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0/14/c/f/8/cf8f3de7196d5cf5f851ef7b2c2d4e3f.jpg)
![조선시대에 외국어를 배운 방법.txtjpg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0/14/5/d/a/5dab0de7b9932ec7b499e57c0578f2f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