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해서 들어왔으면
다 읽고 가
세상을 보는 눈이 살짝 바뀔 수도???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2/c/c/2cc5268e3e8dcac44c8b4f00bc91db95.jpg)
안녕 여시들
나는 불교 영상을 자주 보는 여시임
얼마나 자주 보냐면...
지금까지 적게는 1시간
많게는 3시간짜리 영상을
수백 편은 본 듯
이유는 그냥 불교 철학이 궁금해서임ㅎㅎㅎ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9/a/2/9a27c2f4bb0631f7c20dae60a4c596eb.jpg)
각설하고 정식으로 배운 게 아니기 때문에
혹시 불교 잘알 여시들이 있다면
현대 사회는 바쁘기 때문에
글이 조금만 길어도
안 읽는 여시들도 많기 때문에!
글이 적고! 빨리! 읽어도 이해할 수 있게 적어 보겠음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b/1/c/b1cabc8f3ca7c2710e558c00a7cf6c78.jpg)
붓다는 인간의 '괴로움'에 대해
집요할 정도로 파고들었던 사람임
인간은 왜 괴로운 것인가?
여기서부터 시작된 질문
그렇다면
괴로움은 무엇이며
괴로움의 원인은 또 무엇인가?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0/c/6/0c6fc40544ee2053a519b576f295944e.jpg)
불교에서는 허황된 '미래'에 대해 사로잡히는 일이 없음
무슨 뜻이냐면
그 어떤 현상도 원인 없이 생기는 결과는 없다
내가 현재 행하는 모든 일이 '원인'이 되고
후에 반드시 '결과'로 나타나게 됨
이게 불교에서 말하는 '미래'임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5/3/4/534861642cde46a842be02e43ce3f0ce.jpg)
예를 들어
지금 현재의 사소한 언행들이 쌓이고 쌓여
반드시 결과로 돌아오게 된다는 게 불교의 기본 사상임
이건 단순한 저주가 아니야
그저 본인이 저지른 원인을 '결과'로 보고 있을 뿐임
사람은 결과(미래)를 볼 수 있는 능력이 없음
불교에서는 결과를 보고 원인을 알고자 할 뿐이지
미래를 예측하는 허무맹랑한 짓은 하지 않음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8/2/0/82076753f7d12591351a9ad7827fe0ea.jpg)
그래서 붓다는 괴로움의 '원인'을 찾기 시작함
그리고 인간의 모든 괴로움의 원인이
'욕망'이라는 것을 알게 됨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9/4/8/9484a3d4362e90ddbc1335cadee2d7ab.jpg)
인간은 자신의 욕망이 채워지는 것 = 행복
이라고 생각함
그렇다면 욕망이 전부 이루어진 인간은 행복할까?
그럴ㅋ 리가ㅋ
인간의 욕망은 채워지면 다음 욕망을 부르고
더더더더 커지는 성질이 있음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9/1/6/916eca7c6052a0db9a0843288dc3ae05.jpg)
그래서 붓다는 욕망의 씨를 한번 말려보고자
스스로 모든 욕망을 억압하고 억제함
욕망을 억제하는
'고행주의'를 실천한 거임
일반 사람들은 흉내 낼 수 없을 만큼
잠을 안 자고, 안 먹고, 안 씻고 등등
피골이 상접할 때까지 욕망을 거세함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2/f/c/2fc6158e3787d694202945cc937a7d00.jpg)
그런데 그렇게 고행을 실천했음에도
해탈의 경지는 오지 않음
붓다는 다시 자신의 행동을 돌아봄
혹시 고행을 덜 해서 그런 것일까?
그러다가 깨닫게 됨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b/5/6/b56689398d562269dc808fc1d105edb4.jpg)
욕망을 따라가는 것만이 욕망의 노예가 아니고
욕망을 억압하려는 마음 또한 욕망이라는 것을
욕망에 반응하는 것 자체가 욕망의 노예라는 뜻이야
그저 욕망을 따라가느냐,
따라가지 않겠다고 버티느냐의 차이일 뿐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4/c/8/4c89e5994813fc445e5f27cf7366d9a4.jpg)
정리하면
욕망을 따라가서 얻는 것 - 쾌락
욕망을 억제해서 얻는 것 - 고행
그 사실을 깨달은 붓다는
수행자에게
'고행도 버리고 쾌락도 버려라'
라고 말씀하심
이게 무슨 뜻이냐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3/f/0/3f0ad045c5d83616357a4747278b9726.jpg)
어떤 것을 억제하고 따라가고 하는 것은
해탈의 길이 아니다
욕망으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
여기서 나온 것이
'알아차림'
욕구가 일어나면
다만 그것을 '아는 것.'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a/2/5/a25a77313ac8293fea918a7e77d07291.jpg)
이렇게 보면 참 별거 없어 보이겠지만
실제로 자신의 '욕망'을 잘 아는 사람은 드묾
그래서 붓다는
욕구가 일어나면 그 욕구가 일어난 원인 자체를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봤음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8/9/f/89fb355ca8549ac9af3aef84aa8d99cf.jpg)
욕구가 일어나면 다만 그것을 아는 것
알아차린 후에
그저 욕망을 맹목적으로 따르지도
억지로 억제하지도 않는 것
'앎' 자체가 수행이라고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0/f/a/0fac85b7d4e10f1595ce82f48a081713.jpg)
인간은 욕망 없이 살 수 없는 동물임
물을 마시는 것부터
대소변을 보는 것까지 전부 욕구를 동반함
그렇기에
자신의 욕망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평생 괴롭고 우울할 수밖에 없음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7/f/1/7f1ddd1807a8405def2462a3902e589a.jpg)
그래서 이 글을
여기까지 다 읽은 여시들은
순간순간 자신의 욕망을
'아는 것'부터 시작하길 바람
욕망의 원인을 우울감 없이 이성적으로 찾는 일이
생각보다 어려울 것임
붓다는 산스크리트어로
'깨달은 자'임
![인생이 괴로워서 불교 철학 찍먹할 여시들 궁금하면 이 글을 클릭합니다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1/07/f/f/9/ff9f2e8af34ec99597e94f5eba1a5580.jpg)
생각보다 어려울 수도
쉬울 수도 있겠지만
오늘부터 함 실천해 보길 바라!
아마 작게나마 일상의 변화가 생길 거야
그럼 여시들이원치않아도
불교 철학 요약해서 또 들고 올게
본문 반박시 여시 말이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