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사고에서 실제로 항공기가 충돌한 것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2/30/b/2/7/b276d7b7cf235030ad099243431929ce.jpg)
다들 무언가 '벽에 박았다' 정도로만 알고 있는데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로컬라이저 신호 발생기입니다.
이게 뭐냐면
![이번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사고에서 실제로 항공기가 충돌한 것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2/30/3/a/5/3a542fee647967f71f57a6dd8e8e4e2e.jpg)
활주로 끝단에서 양 방향으로 각자 다른 주파수의 전파를 쏴서
항공기가 활주로 중심에 정렬 할 수 있게 신호를 주는 항법 시설이죠.
![이번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사고에서 실제로 항공기가 충돌한 것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2/30/b/a/9/ba973b6e48520b0923e3f91ac3c5196f.jpg)
저런 시설이 필요한 이유는
안개나 구름 등으로 활주로가 보이지 않아 계기비행만으로 착륙할때
즉, 앞이 안보여도 활주로 정렬을 하게 해주는 필수 장비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사고에서 실제로 항공기가 충돌한 것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2/30/1/f/6/1f6d6a08c3ac2b848b4175accd10af6e.jpg)
몇몇 커뮤나 기사 댓글들을 보면 '무안 공항 설계가 잘못되었다'
라며 무안 공항 자체의 문제로 치부하는 말들이 참 많이 보이던데
그냥 공항이라면 활주로 끝에 저게 있는건 당연한겁니다.
![이번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사고에서 실제로 항공기가 충돌한 것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2/30/b/6/8/b680c11fe6a325a55234ee817b55887d.jpg)
그리고 착륙 속도가 빨랐다고 이상하다는 댓글도 유독 많던데
이것도 굳이 따져보자면 이상한게 아닙니다.
![이번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사고에서 실제로 항공기가 충돌한 것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2/30/1/3/4/134c773540da3a1c35eee1cefde3dff3.jpg)
비행기는 특정 속도 이하로 떨어지면 양력을 잃고 추락하게 되어있어서
아무리 비상시라도 무작정 속도를 줄일 수 없습니다.
![이번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사고에서 실제로 항공기가 충돌한 것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2/30/b/c/8/bc8f747c269272d61223cc5576750ae6.jpg)
심지어 엔진 한쪽을 이미 잃은 상태라, 평소 접근속도보다 약간 빨랐어야 했을겁니다.
나머지 엔진도 언제 죽을지 모르는 일이고, 만에 하나 그렇게 된다면
활주로까지 도달 못하는 대참사가 일어날 수 있으니까 말이죠.
![이번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사고에서 실제로 항공기가 충돌한 것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2/30/e/9/3/e931bf0880a80178a7fda54ef91fd986.jpg)
이번 사고 과정에서 치명적이었던건, 대부분의 상용 제트여객기는 초기 제동의 90퍼센트를
엔진 역추진과 스포일러(날개 위에서 올라오는 에어 브레이크)가 담당하는데
![이번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사고에서 실제로 항공기가 충돌한 것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2/30/c/e/5/ce5e06d8b2f126d2a1a8506128c93da2.jpg)
동체착륙, 유압계통 손상, 엔진 화재가 겹친다면 저 위의 시스템이 작동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야하고
사실상 속도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없었던 셈이죠.
![이번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사고에서 실제로 항공기가 충돌한 것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2/30/d/6/6/d6625b18be4f02f0b17dd3154634dc84.jpg)
항공기가 착륙을 위해 활주로에 거의 다 온 순간 버드스트라이크가 일어났고
엔진 다운과 동체착륙까지 워낙 순식간에 일어난 상황이라
공항측에서도 비상 제동 그물이나 소화제 분사같은 비상조치들을 미리 할 시간이 없었죠.
![이번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사고에서 실제로 항공기가 충돌한 것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2/30/4/f/b/4fbc426a91f092f8e4f03aac76f05722.jpg)
랜딩기어가 왜 안내려왔는지는 아직 아무도 모르지만
'왜 수동 전개를 안 했냐'며 조종사를 탓하기엔 '수동 전개' 도 무적은 아닙니다.
![이번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사고에서 실제로 항공기가 충돌한 것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2/30/5/e/a/5ea80e4f944560245e5e056df72e0c9e.jpg)
이게 유압이 없어도 중력으로 내려오는것 까지는 맞는데
수납부 손상, 유압계통이 어떻게 파괴되었는지에 따라 랜딩기어 작동이 완전히 불가능한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위 사진도 비상 전개가 안돼서 동체 착륙한 사례죠.
![이번 제주항공 활주로 이탈사고에서 실제로 항공기가 충돌한 것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4/12/30/4/d/0/4d0d3d52eb2a9629d349d6a65aed8370.jpg)
근거 없는 의혹을 쏟아내면서 무안 공항의 문제라던지 조종사의 과실로 치부하려는 사람들이 많은데
마지막 순간까지 노력했을 조종사들까지 폄훼하며 굳이 인재로 몰아가는건 정말 잘못됐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