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어요 l 열기
모바일 (밤모드 이용시)
댓글
류준열 강다니엘ll조회 13381l



“추석을 어떻게 보내느냐고요? 정말 아무것도 안 해요. 차례도 지내지 않고…. 아버지 모시고 가족들이랑 근교로 나들이나 갈까 해요.”

19일 서울 경복궁 옆 카페에서 만난 이치억 성균관대 유교철학문화컨텐츠연구소 연구원(42·사진)은 추석 계획을 묻자 싱긋 웃으며 이렇게 말했다. 이 연구원은 퇴계 이황의 17대 종손이다. 1000원짜리 지폐에 그려진 이황이 누군가? 조선 성리학의 기초를 세운 인물 아닌가. 그런 뼈대 있는 가문의 자손이 차례를 안 지낸다고?

“추석엔 원래 차례를 지내는 게 아니에요. 추석은 성묘가 중심인데, 저희는 묘가 워낙 많아 일부는 (벌초) 대행을 맡겼어요. 그리고 성묘는 양력으로 10월 셋째 주 일요일을 ‘묘사(墓祀)일’로 정해 그때 친지들이 모여요. 그러니 추석은 그냥 평범한 연휴나 다를 게 없죠.”

종갓집답지 않은 이 오붓한 추석은 십수 년 전 이 연구원의 부친이자 이황의 16대 종손인 이근필 옹(86)의 결단에서 시작됐다. “아버지는 무척 열린 분이세요. 예법을 그냥 답습하지 않고 그 의미가 뭔지 계속 고민하셨죠. 집안 어르신들도 변화를 거부해선 안 된다는 생각을 갖고 계셨고요.”

퇴계 종가의 제사상은 단출하기로도 유명하다. ‘간소하게 차리라’는 집안 어른들의 가르침 때문이다. 한 때는 1년에 20번 가까이 제사를 지냈지만 현재는 그 횟수가 절반 이하로 줄었다. “만약 집안 어른이 자손들에게 조선시대의 제사 형식을 고수하라고 한다면 그 제사가 유지될 수 있을까요? 오히려 자손들이 등을 돌려 아예 없어지고 말 거에요. 예(禮)란 언어와 같아서 사람들과 소통하면 살아남지만, 그렇지 못하면 사라지고 말죠. 시대와 정서에 맞는 변화가 필요해요.”

제사가 있을 때는 이 연구원도 부엌에 들어간다. “음식 만들기엔 소질이 없지만 설거지는 제가 해요(웃음).” 할아버지, 할머니는 설거지를 하는 증손을 받아들이지 못했지만 그의 아버지는 단 한번도 뭐라 한 적이 없었다.

“원래 예에는 원형(原型)이 없어요. 처음부터 정해진 형식이 있는 게 아니라 자연스럽게 우러나오는 마음을 따라 하다보니 어떤 시점에 정형화된 것이죠. 우리가 전통이라고 믿는 제사도 조선시대 어느 시점에 정형화된 것인데 그게 원형이라며 따를 필요는 없다고 봐요. 형식보다 중요한 건 예의 본질에 대한 성찰이에요.”

그는 “우린 평소 조상을 너무 잊고 산다”며 “명절만이라도 ‘나’라는 한 사람의 뿌리인 조상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것, 가족과 화목하게 지내는 것, 그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 아내도 남편도 힘든 명절은 그만…“과일-송편으로 충분” ▼

‘하아! 이 망할 놈의 유교 같으니라고….’

이 땅 위의 한국인들은 추석 때마다 마음 한 켠으로 조그맣게 이런 말을 읊조렸을지 모른다. 몇 시간 동안 막히는 고속도로를 뚫고 도착한 선산에서 윙윙대는 벌들과 싸워가며 예초기를 밀 때, 언제나 친정은 뒷전으로 하고 시댁부터 찾아가 추석의 하이라이트를 보내야 할 때, 얼굴도 모르는 남편의 조상님을 위해 환갑이 넘어서까지 차례상을 차려야 할 때, 이들은 생각한다. ‘유교 때문에 내가 죽겠다….’

초등학생인 시동생을 ‘도련님~’하고 불러야 하는 며느리는 마치 몸종이 된 기분이 든다. 추석이 끝난 뒤 분노를 쏟아내는 아내를 보는 남편들도 생각한다. ‘어머니, 왜 저를 유교 문화권에 낳으셨나요….’

하지만 유교전문가들은 억울하다. 한국인에게 유교가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 현실이. 사실 조상님들의 ‘본심’은 그게 아닌데 본 뜻을 살리지 못한 잘못된 예법이 중구난방으로 전해져 마치 무조건 따라야 할 형식처럼 돼 버렸단 것이다. 조상을 공경하며 가족 모두 화목한 추석이 되기 위한 우리의 예(禮)는 무엇일까. 동아일보가 창간 98주년을 맞아 진행한 ‘새로 쓰는 우리 예절 신예기(新禮記)’ 시리즈 속에서 답을 찾아봤다.

▽추석 차례, 안 지내도 그만=본래 유교에서는 기제사(고인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제사)만 지낼 뿐 명절엔 제사를 지내지 않는다. 차례상 문화는 명절 날 자손들만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게 죄송해 조상께도 음식을 올리면서 생겼다. 여기에 조선 후기 너도 나도 양반 경쟁을 벌이면서 차례상이 제사상 이상으로 복잡해졌다는 것. 집안 전통상 차례 지내기가 관례라면 과일과 송편으로도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전 부치다 싸우면 바보=명절 기간 최고로 힘든 노동 중 하나는 ‘전 부치기’다. 보통 차례상에 올리기 위해 만드는 경우가 많다. 유교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는 잘못 전해진 예법의 대표적 예다. “제발 제사상에 전 좀 올리지 마세요. 유교에서는 제사상에 기름 쓰는 음식 안 올려요. 그건 절(사찰)법이라고요. 전 부치다 이혼한다는 데, 조상님은 전 안 드신다니까요.” (방동민 성균관 석전대제보존회 사무국장)

▽제사상 과일 위치, 집집마다 달라요=제사상을 차릴 때 흔히 ‘홍동백서(붉은색 음식은 동쪽, 흰색 음식은 서쪽에 놓음)’라는 말을 쓰지만 이는 정해진 게 아니다. 예서에는 ‘과일’이라고만 나와 있을 뿐 과일의 종류나 놓는 위치를 규정하지 않고 있다. 제사상 차림은 가가례(家家禮·각 집안마다의 예법)에 따르면 된다.

▽장남 혼자 제사 책임? 오해에요=장남만 제사를 지내야 한다거나, 음식은 한 집이 책임져야 한다거나, 여자는 음식만 만들 뿐 제사상에 절을 올려서는 안 된다는 것 모두 잘못 전해진 관념이다. 과거 조상들은 형제마다 각자 음식을 준비해오거나 제사 일부를 나눠 맡는 ‘분할봉사’를 했다. 종갓집에서는 지금도 제사 때 반드시 두 번째 술잔을 맏며느리에게 올리게 해 여성의 존재를 존중한다.

▽명절 때 방문 순서 번갈아 가면 어때요=직장인 신재민 씨(39)는 “결혼 초 명절 때마다 늘 우리집(시댁)부터 먼저 가는 관행 때문에 아내 불만이 많았다”며 “몇 년 전부터 한 해씩 친정과 번갈아 먼저 가기로 했는데 서로 만족한다”고 말했다. 양가 중 자녀가 한 명 뿐이거나 배우자와 사별한 경우 등 좀 더 외로운 부모 쪽을 먼저 찾아 배려하는 것도 좋다.


https://m.news.naver.com/read.nhn?oid=020&aid=0003171304&sid1=102&backUrl=%2Fhome.nhn&light=off




+
한문 배울 때 교수님한테 들은 얘기 + 내가 공부한 뇌피셜

내가 알기로 전은 궁중 잔치음식임. 옛날 전은 귀한 참기름이나 돼지 비계기름으로 부치는 거라서 아무날이나 먹을 수 없는 음식이었음.
귀한 음식이니까 애들도 먹고싶다고 옆에서 방방 뛰고 만드는 어른들도 신났겠지? 저런거 부칠 정도면 어지간히 부잣집 이상이니까 하인들이 품삯 제대로 받고 노동하는 거고.

그리고 세레머니를 주관하는 며느리는 제사에서 두번째로 술을 올림. 제사에서 술 올리는 건 나름 되게 권력이라. 초헌 아헌 종헌이라 해서 세 번 올리는데 지방행사에서는 귀빈이나 국회의원 시킬 정도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행위임.


그니까 제사를 지낼거면 지금도 누구나 기대되고 신나는 음식을 마련해서 제사지내고 먹어야 맞는 것 같음.



명절이 다가오니 슬슬 긴장되는것...

"제발 차례상에 전 올리지 마세요, 조상님은 안 드신다니까요” | 인스티즈



 
👍
2개월 전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혹시 지금 한국이 아니신가요!?
여행 l 외국어 l 해외거주 l 해외드라마
카테고리
  1 / 3   키보드
닉네임날짜조회
이슈·소식 로또 1등 22억 수령한 대학생309 누가착한앤지03.30 15:2093559
이슈·소식 JYP 사내 회장실 논란 해명.jpg131 NCT 지..03.30 11:02107263 4
이슈·소식 차은우 생일파티에서 5분만에 탈락한 파트리샤.JPG144 우우아아03.30 16:4992210 21
유머·감동 파티셰라는 아일릿 모카 할아버지 실력194 실리프팅03.30 09:54115686 32
유머·감동 월급 200만원 받는데 월세 70만원 낸다는 직장인 논란67 비행기타고03.30 17:0365863 0
직숲캡쳐 ㅋㅋ 직장에서 실수하는 법1 어니부깅 03.04 16:40 3497 0
물어보살 보는데 서장훈 빡쳤나봐1 김규년 03.04 16:40 4506 0
논란의 초등학교 문제 돌돌망 03.04 16:33 2385 0
지인 중에 부모가 원룸에 찾아와서 굿즈 버려서 자살한 사람이 있다.twt 담한별 03.04 16:30 2415 0
운전면허 있는데 D N P R 뜻 모르는게 가능해?.jpg94 따뜻하군 03.04 16:12 109569 2
먹으면 다들 반한다는 에드워드 리가 만든 만능 소스 레시피...jpg6 죽어도못보내는-2.. 03.04 15:52 12664 0
한국인의 프랑스 박물관 방문기 자막 온도차1 30646.. 03.04 15:45 3633 0
취미로 알바한다는 정혁 말 듣고 주변 사람들 모두 놀란 이유5 헬로>.. 03.04 15:37 11440 0
[당나귀귀] 상처받고 힘들어서 엄마가 친엄마가 맞나 생각했었다는 심영순 선생님1 옹뇸뇸뇸 03.04 15:36 5643 0
티비 보면서 노는 냥이3 jeoh1.. 03.04 15:10 4498 0
(물어보살) 30년전 형님들을 찾습니다263 임팩트FBI 03.04 14:58 100150
생리양 진짜 이렇지않아?99 장미장미 03.04 14:45 87254 8
X에서 알티 타는 중인 걸스데이 생라이브.x3 qksxk.. 03.04 14:38 9561 0
복권 당첨자 소감 한마디 연습하는 글3 성우야♡ 03.04 14:35 1375 0
약스압) 레미콘에 대해서 알아보자.jpg 나는왜 03.04 14:22 2768 0
태어난 김에 사는 새.JPG1 차준환군면제 03.04 13:57 2491 0
고독사 현장에 홀로 남겨졌었던 강아지...gif10 풀썬이동혁 03.04 13:41 13390 1
숟가락으로 버터 예쁘게 모양내는거 그냥 보고있으면 기분좋아짐2 탐크류즈 03.04 13:36 3603 0
엄마가 여행갔다가 돌아오는날 집 청소 한다? 안한다?1 색지 03.04 13:36 1274 0
'44세' 김대명, 5수 도전해 입학한 S 대학교 '21년' 만에 졸업했다4 쿵쾅맨 03.04 13:36 10566 2
이슈
일상
연예
드영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