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고양이를 굉장히 귀여워하지
그 이유는 베이비 스키마 라는 과학적 용어가
이유로 들어가는데
인간은 넓고 각지고 커다란 것보다
작고 동그랗고 앞으로 돌출된 큰 동그란것을
보호해하고싶은 본능을 느낌
우리가 아기들을 봤을때
귀엽고 보호본능을 느끼는게
돌출부가 작은 동그란 머리
얼굴의 면적에서 큰 눈 작은 코
약간 아래쪽에 위치한 눈
동그랗고 짤똥한 비율
이런게 귀엽고 보호본능을 느끼게함
근데 이러한 보호본능은
사람뿐만이 아니라 동물들도 느끼는데
그래서 포유류들의 새끼(아기)는
저 비율에 맞춰 굉장히 귀여움
즉 새끼때는 어미의 보호가 필요한데
어미의 보호가 없어졌을때
다른 동물에게도 보호본능을
느끼게하여 살아남기위한
생존 방식으로의 진화임
그래서 이러한 특징은 조류의 새끼와
포유류가 특징적으로매우 잘 나타남
근데 사람이나 동물이나
성체가 되면
그런 귀여운 특징들이나
이목구비의 비율들이사라짐
그런데 특이하게도 고양이들은
새끼에서
성체가 되어도
그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는것임
돌출된 앞얼굴에 얼굴에서 눈의 비율이 크고
눈이 약간 아래에 위치하고있고
전체적으로 동그랗고
코도 작고 얼굴에 비해ㅅ 같은
작은 입모양을 유지하고 있음
전체적으로 동그랗고
짤똥한 비율과
발과 발바닥도 몸보다
살짝 커서 아기같은 비율을 유지하고있음
그래서 인간은 성묘인 고양이를 봐도
귀엽다라고 느끼는것임.
새끼고양이보다 성묘가 더
귀엽다는 반응도 가끔 있으니ㅇㅇ
비교를 했을때
왼쪽이 정상비율인데
고양이는 성묘여도 오른쪽 비율을
유지하고있어 귀엽다는 느낌을 더 준다.
결론 : 고양이가 귀여운건 과학적이며
고양이가 세상을 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