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어요 l 열기
모바일 (밤모드 이용시)
댓글
한 편의 너ll조회 15840l 6
많이 스크랩된 글이에요!
나도 스크랩하기 l 카카오톡 공유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최근 유럽을 얘기할때 나오는 이미지중 하나가 복지는 좋지만 그만큼 계층이나 신분 상승이 어렵다는거임.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그런데 의외로 사회 이동성 지수에서 북유럽등 유럽 국가들은 최상위권에 위치.

 

그럼 대체 무엇이 맞는걸까. 단순히 한국인들의 편견에 불과한것일까?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이렇게 평가하기전에 사회이동성 지수나 OECD의 경제 계층 이동성의 기준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음. 이 사회 이동성 지수에서 평가하는 기준은 크게 10가지임.

 

1. 건강 2. 교육 기회 3. 교육의 질과 공정성 4. 평생 교육 5. 최신 기술 접근성 6. 직업 기회 7. 소득 분포 8. 노동 환경 9. 사회 안전망 10. 통합적 제도

 

세부적인 사항까지 파고들면 너무 길어지니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자면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 2023년 UN 국가별 기대수명 추정치 ]

 

1. 건강은 기대수명과 영양결핍에 시달리는 아동 비율이 주 평가 사항.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20대 인구 고등학교 졸업 비율 ]

 

2. 교육 기회는 유치원 교육 이수하는 인구 비율, 초중고 필수 교육 접근이 제한된 아동 비율, 직업학교가 제공하는 교육 수준.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문해율이 주요 선진국중 최고 수준인 한국 ]

 

3. 교육의 질과 공정성은 문해율, 선생님이 가르치는 학생 수, 뒤떨어지는 학생에 대한 불이익 여부.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 성인이 된 이후에도 교육 이수 비율이 높은 북유럽 ]

 

4. 평생 교육은 직장 내 교육과, 온라인 교육 수강 접근성 및 성인이 얼마나 컴퓨터를 다루는데 능숙한지 여부.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 인터넷 사용 가능 인구 비율 ]

 

5. 기술 접근성은 성인중 인터넷을 사용하는 인구 비율, 핸드폰 보유 인구 비율, 3G 이상 모바일 인터넷 접근성, 학교내 인터넷 사용 가능 비율.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학력에 따른 실업률 격차 : 한국은 매우 고른편 ]

 

 

6. 일자리 기회는 학력에 따른 실업률 격차, 시골 실업률 및 장애인 등 사회적 취약자 실업률.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 상위 10% 가 세후 기준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남아공, 칠레, 브라질, 중국, 미국, 프랑스 ]

 

7. 소득 분포는 하위 40%가 전체소득이 차지하는 비중 vs 상위 10%가 전체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해당 국가 중위 임금 3분의 2 이하로 버는 노동자 비율 ]

 

또는 하위 50% 가 전체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 vs 상위 50% 가 전체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 그리고 저임금으로 종사하는 노동자 비율.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 OECD 선진국 1년 노동 시간 ]

 

8. 노동환경은 노동자 권리, 노사간 협력, 임금과 생산성, 주 48시간 이상 노동하는 노동자 비중.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 GDP 대비 복지지출 ]

 

9. 사회안전망은 중위소득 대비 최저임금 수준, 사회보장을 누리는 인구 비중, GDP 대비 복지.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 부패인식지수 ]

 

10. 부패인식지수, 공공서비스 효율성, 정치 안정성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뭔가 짜칠거임. 그도 그럴게 이건 한국이나 중국 등 동아시아에서 생각하는 세상에 자기 이름 석자를 알리는 입신양명이 아니라 인구 절대다수의 평범한 장삼이사 즉 범부들을 위한거라서.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국제기관에서 보는 사회 이동성은 가난한 사람들이 얼마나 많이 중위계층으로 올라가는지, 한국으로 치면 달동네에 사는 기초생활수급자가 월 2-300만원은 버는게 가능해지는지 여부가 핵심임.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한국 중산층 기준은 약 월급 260만원대부터, 고소득자는 월 530만원대부터 ]

 

그리고 중간층이 좀 더 노력하면 중상위 한국으로 치면 월 200만원 월급에서 500만원대까지 찍는지 여부.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인도보다 높은 이탈리아, 스웨덴, 독일, 프랑스 상속 거부 비율 ]

 

보통 한국이나 동양에서 생각하는 성공이라고 생각되는 부귀영화를 누리는 거부들의 재산 축적 과정을 보면 유럽은 부모에게 물려받는 상속이 훨씬 많음.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선진국들이 평균 월급을 버는 노동자들에게 걷는 소득세 : 35-50% ]

 

즉 일론 머스크나 제프 베조스 같은 자수성가로 엄청난 성공을 거두는건 거의 불가능할뿐 아니라 자기 월급만으로는 " 부자 " 가 되기조차 어려운 환경.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하위 소득에서 중위 소득까지 몇 세대 걸리는지 측정 ]

 

다만 가난한 하류층이 일반적인 소시민적 삶을 영위하게 해줄 사다리는 잘 놓여져 있다는거임.

 

그야 선진국이란 단어가 모두 출세하고 영의정 같은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자리에 올라가는걸 보장한다는 동의어가 아니며 현실적으로 그럴수도 없음.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 미국, 스웨덴, 독일, 영국, 프랑스, 일본 1인당 gdp 변화 ]

 

이미 자리잡은 기득권이 있고 발전이 사실상 완료되었으며 초고령화로 경제적 역동성이 사라졌으니까. 다만 하위층이 좀 더 노력하면 지금 소득 1.5-2배 이상 올릴수 있게끔 해주는지가 관건.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 엔비디아 시가 총액 변화 ]

 

물론 현재 비트코인이네 엔비디아네 하는 뇌가 도파민에 절여진 사람들에게 이건 별거 아닌것처럼 보이겠지만 굉장히 대단한거임.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인류의 1인당 평균 1인당 gdp가 2배 오르는건 예수 태어난 이후 거의 1800년이 걸렸으니까.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그러나 한국에서 계층 이동을 표현하는 가장 대표적 용어가뭐임? 개천용임.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십억 이상 서울 자가도 있는게 기본에 의사나 검판사 정도는 되어야 그나마 계층 이동에 최근은 이조차도 진정한 수백 수천억 부자에 밀린다고 노비네 뭐네 하는 판국임.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2-30대 기준 대학진학 비율이 한국 대비 매우 낮은 유럽 선진국들 ]

 

맞음. 국제 기준에선 한국이나 유교문화권에서 말하는 과거급제와 같이 지배층으로 한방에 올라서는 비약적 신분상승을 말하는게 아니라 노비에서 중인 정도로 올라가는것도 대단한 상승이라고 얘기하는거임.

 

그럼에도 국평오란 말이 존재하고 선진국중에서도 압도적으로 대학을 진학하는게 한국이다보니, 고작 글을 읽을줄 알고, 영양결핍에 시달리지 않는게 기준?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 미국 아동 빈곤율 ]

 

이라고 한국인들은 말하겠지만 선진국들중에서도 아직 이런 부분이 미흡한 국가는 존재하고 복지가 취약한 미국의 사각지대에 놓여진 아이들이 그럼.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미국은 프랑스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3-4배 연봉을 받음 ]

 

그리고 반대로 이게 유럽에서 미국으로 성공하러 가는 엘리트들이 많은 이유기도 함.

 

말 그대로 가난한 계층에서 상승해봐야 조그만 원룸 월세로 살며 입에 풀만 부치는 작은 가재와 붕어에서 좀 더 큰 가재와 붕어가 되기 원하지 않으니까.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미국을 제외하고 부자가 증가하는 속도가 가장 빠른 국가 최상위권이 베트남, 중국, 인도등 개도국들인건 결코 우연이 아님 ]

 

엄청난 부를 획득하고 대성을 위해선 사회구조가 고착화된 유럽이나 일본같은 선진국은 힘들고, 자체적으로 계속 혁신하는 미국이나 아직 기득권이 굳혀지기전인 개발도상국으로 가야하거든. 옛날 한국처럼.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선진국 중위 가처분 소득 순위 ]

 

한국도 이제 아시아에서 도시 국가 제외하고 가장 잘사는 수준까지 올라왔는데 이제 좀 욕심을 내려놓고 봐야 이런 괴리가 안 생길거임.

 

(요약ㅇ)한국에서 유럽 계층 상승 힘들다 하는 이유...jpg | 인스티즈



스웨덴에 이민한 한국 기술자의 소회: 부자나 상류층은 될 수 없지만 적당히 만족하고 살기에 좋음 ]

 

수능 1등급만이 성공이 아니라 7등급에서 5등급 또는 5등급에서 3등급으로 올라가는것도 분명한 상승이라는거고, 국제기관의 사회이동성 지수는 인식하고 실제로 그게 맞음.

 

 

3줄 요약:

 

 

1. 한국인이 보기에 유럽등 선진국의 계층 상승이 힘들다고 하나 정작 사회 이동성에서 해당 선진국들이 높은 점수를 받는건 한국의 계층 상승과 국제적인 계층 상승에 대한 인식차이 때문.

 

2. 국제 기준 계층 상승은 하류층이 중산층, 한국 기준 월급 200만원대로 올라가는걸 의미하는데 서-북유럽에서 하류층 복지가 잘 되어있어 계층 이동성에서 좋은 평가를 받으나 반대로 세금이 높아 중산층의 자산 형성과 상류층 진입은 어려워 유럽 부자들은 자수성가보다 상속 비율이 높음.

 

3. 그러나 개천용이란 단어에서 드러나듯 한국에서 계층 상승은 하류층 탈피를 넘어, 상류층으로 올라가는걸 의미하며 여기서 한국내 인식과 국제기준의 괴리가 생기는것으로 사실 적당한 가붕개적 삶이 아닌 큰 성공을 바라는 유럽 젊은이들은 미국으로 많이 감.

 

 

 

다른경제관련글모음
최근 프랑스가 이탈리아화 되고 있다는 이유(링크정리)

농업만으로 선진국 거의 불가능이라 하는 이유(링크정리)

(요약ㅇ)파이낸셜타임즈 " 독일 기업은 더 작아지고, 더 약해졌다 "(링크정리)

(요약ㅇ)한국에서 가장 많이 혼동되는 단어...jpg(링크정리)

(요약ㅇ)중국 " 매년 죽는 노인 숫자가 신생아의 6배 될 것 "

(요약ㅇ)선진국들 세금은 증가하는데 복지는 줄어드는 이유...jpg

(요약ㅇ)요즘 스위스 경제 전망이 하락세인 이유...jpg

(요약ㅇ)세계질서가 다극화 된다는 이유...jpg

(요약ㅇ)선진국들 산업 전환 힘든 이유.jpg

 



 
👍
1개월 전
💯
1개월 전
개도국에서는 개천용 계속 나올수 있음 한국은 성장이 끝난 나라기 때문에 이제 개천용 힘든데 유럽처럼 대놓고 신분제는 아니기 때문에 유럽 보다는 열려있는 사회임 인도 봐봐 신분제 때문에 똑똑해도 인도 못 벗어나고 살다 죽는 사람들 개흔함
1개월 전
근데 보면 한국인들 급급 거리면서 지들 스스로 신분을 만들더만
1개월 전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혹시 지금 한국이 아니신가요!?
여행 l 외국어 l 해외거주 l 해외드라마
카테고리
  1 / 3   키보드
닉네임날짜조회
이슈·소식 현재 2000플 넘은 최여진 동상이몽 예고.JPG154 우우아아03.31 21:49106051 0
이슈·소식제니 라일락 vs 아이유 like아이유 머가더 충격이야133 비비의주인03.31 17:32102585 4
이슈·소식 오열하는 김수현...JPG116 우우아아03.31 17:03136118 3
이슈·소식 현재 알티터진 김수현 팬 트윗.JPG71 우우아아03.31 22:50103070 2
팁·추천 직장인 여러분 밤 10시에 한번 자보세요70 공개매수03.31 21:2874860 0
코드가 맞다는 것은 정확히 어떤 성격이 맞다는 것을 뜻할까? 03.24 22:27 1611 1
직장병행 전문직 합격자의 데일리 공부패턴2 수인분당선 03.24 22:14 5373 0
방탄소년단 알엠 인스타 업데이트2 세기말 03.24 21:49 6866 0
종이책과 전자책의 차이(아마 애플은 절대 말하지 않을...)14 오이카와 토비오 03.24 21:42 15374 0
30년 가까이 오타쿠 생활하고 있는 유튜버 회사원A의 덕질 기준7 NUEST.. 03.24 21:11 11824 0
조현병에 걸릴 취약한 뇌 특징18 네가 꽃이 되었.. 03.24 20:10 55373 1
중소기업을 살릴 수도 있는 sns의 순기능.twt424 민초의나라 03.24 19:40 105220
충격적인 90년대 신용카드 사용 방법..2 31186.. 03.24 19:39 11768 1
경찰에 몰래 신고 하는 꿀팁 solio 03.24 19:13 1685 0
📡 이재명&유발하라리 대담 라이브(Live) : AI시대를 말하다 다시 태어날 수.. 03.24 18:27 123 1
8년차 공무원 직장병행하면서 전문직합격한 루틴 널 사랑해 영원.. 03.24 17:00 837 0
도로보수담당 공무원이 얘기하는 최근 포트홀이 많아진 이유 애플사이다 03.24 17:00 1070 1
[피디수첩] 퇴직 후 일자리를 찾아 다니는 5060.jpg1 31132.. 03.24 16:20 5233 0
방송에 나왔던 최여진의 가평가족3 김규년 03.24 12:20 12235 0
[스압주의] 2025년 4월 신상 출시 예정 가챠 토이 boli 03.24 12:03 1811 0
고소 여부를 떠나 알아두면 좋은 정보 solio 03.24 11:57 1511 0
지구상에서 가장 방사능이 강한 곳을 찾아서3 하품하는햄스터 03.24 10:59 7088 4
사람은 믿어도 되는가, 믿지 말아야 하는가1 데뷔축하합니다 03.24 09:43 2143 0
나빌레라에 나왔던 치매 테스트.jpg1 NCT 지.. 03.24 08:55 5271 2
우리나라에서 제일 많은 mbti 뭐라고 생각하는지 1위 2위 3위까지 순서대로 말하..1 요리하는돌아이 03.24 07:23 894 0
이슈
일상
연예
드영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