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국 머리를 왜 저렇게 따서 물에 띄우는지 의아했었는데 키워보니 알겠더라. 꽂이 만개하자마자 따주면 새로 꽃대가 여러개 올라와서 더 많은 꽃을 볼 수 있게 됨. 한덩이 따면 한 두세덩이가 새로 피는 느낌? 딴 꽃은 물에 띄워두면 친수성이라 몇주는 두고볼 수 있으니 피는족족 따서 띄우는듯 https://t.co/hb4FGwplQp
— 로단테 (@Rhodanthe_TR) August 15, 2021
로단테 on Twitter
“수국 머리를 왜 저렇게 따서 물에 띄우는지 의아했었는데 키워보니 알겠더라. 꽂이 만개하자마자 따주면 새로 꽃대가 여러개 올라와서 더 많은 꽃을 볼 수 있게 됨. 한덩이 따면 한 두세덩이
twitter.com
수국 머리를 왜 저렇게 따서 물에 띄우는지 의아했었는데 키워보니 알겠더라. 꽂이 만개하자마자 따주면 새로 꽃대가 여러개 올라와서 더 많은 꽃을 볼 수 있게 됨. 한덩이 따면 한 두세덩이가 새로 피는 느낌? 딴 꽃은 물에 띄워두면 친수성이라 몇주는 두고볼 수 있으니 피는족족 따서 띄우는듯
![수국은 왜 수국일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2/04/2/e/e/2eec30000a5012bdf20b5fda7f5bb60a.jpg)
![수국은 왜 수국일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2/04/d/9/d/d9df1121884703c79a002db98da811c3.jpg)
![수국은 왜 수국일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2/04/e/7/4/e74ae93a6ca32ee283eb285fa308d93c.jpg)
![수국은 왜 수국일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2/04/b/1/f/b1fb37e9adc60d5bd7f203b49341ed9c.jpg)
![수국은 왜 수국일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2/04/b/0/2/b0291ff257633f37ea1ad81ee0d1cfa8.jpg)
![수국은 왜 수국일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2/04/0/d/f/0dfd0454d3dc4dca4618cc2daf924da4.jpg)
![수국은 왜 수국일까?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2/04/f/4/d/f4de835c161466854619113f6c8411b2.jpg)
실제로 외국에선 많이들 담궈놓음
+
24. 무명의 21:52
따는것도 가지치기도 장마 전에 해야 함.
이후에 따면 내년에 꽃 안 핀다.
28. 무명의 = 24 21:55
☞27 수국은 내년에 필 꽃대를 가을 즈음에 만들기 시작해서 겨울을 춥게 나야 내년에 꽃을 피움.
장마 지나 가지치기 하면 내년 꽂망울을 자르는거라 꽃 안 피는 깻잎수국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