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v.daum.net/v/20230828115433573

‘빈 임산부석’ 앉아도 되나… 10년째 논쟁
‘핑크 의자’로 불리는 임산부 배려석(사진)이 도입된 지 10년이 됐는데도 관련 민원이 하루 평균 약 20건 이상 쏟아지며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임산부 배려석을 비워두는 데 대한 상반된 의
v.daum.net
28일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임산부 배려석 관련 민원은 올해 들어 7월까지 4347건이 제기됐다. 하루 평균 20.5건의 민원이 발생한 셈이다. 관련 민원은 매년 줄고 있지만 여전히 적지 않게 제기되고 있다. 임산부 배려석 관련 민원은 2019년 1만2937건(하루 평균 35.4건), 2020년 8733건(23.9건), 2021년 7434건(20.4건), 2022년 7334건(20.0건) 발생했다. 민원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임산부 배려석을 둘러싸고 여전히 다양한 의견이 충돌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민원 내용도 임산부 배려석 운영에 대한 불만은 물론, 비임산부 이용에 대한 조치 요청 등 다양하다.
크게는 “임산부 배려석은 말 그대로 ‘배려석’인 만큼 누구나 앉았다가 양보하는 좌석”이란 주장과 “취지에 맞게 임산부가 마음 편히 앉을 수 있도록 비워둬야 한다”는 의견이 맞부딪치고 있다. 직장인 김모(58) 씨는 “남성이 임산부 배려석에 앉으면 아주 큰일이 난다”며 “임산부 배려석을 내내 비워두는 게 과연 효율적인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이모(여·34) 씨는 “임신 초기 지하철을 탈 때마다 임산부 배려석에 앉아있는 사람에게 임산부 배지를 보여주며 양보해달라고 말하는 게 너무나 부담스러웠다”며 “특히 이어폰을 끼고 스마트폰을 보는 사람들이 많아 말 걸기가 더 어려웠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