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습니다 l 열기
우우아아ll조회 28610l 12
이 글은 8개월 전 (2023/10/05) 게시물이에요
많이 스크랩된 글이에요!
나도 스크랩하기 l 카카오톡 공유

이런 글은 어떠세요?

 
   
서울민국 지방에 일자리도 없고 서울로 서울로
8개월 전
너의노래가되어  0518♟태민의 Advice
와중에 수서역이면 srt.... ktx가 수서역 운행하면 안 되나요
8개월 전
그래서 아마 철도노조가 파업 하는걸로 알고 있어요 민간철도가 공공철도보다 이윤은 다 가져가면서 사고는 많고 대처는 안되고 있고 철도공사가 수서역 할 수 있도록 요구는 하는데.. 앞으로 바뀌었으면 하네요..
7개월 전
저도 지방에서 올라왔는데.. 병원뿐만 아니라 기업도 없고 문화생활도 열악하고..
8개월 전
제로베이스원_한빈  230421한빈데뷔
22
8개월 전
三ツ谷隆  태어난 환경을 원망하지 마
서울공화국... 지방사는데 진짜 심하다고 느껴요..ㅎㅎ 늘... 가끔은 사고났는데 날 받아줄 곳이 없으면 어쩌지 이런 생각도 들고
8개월 전
병원 다녀보니깐 드는 생각이 진짜로... 유선으로도 진료 결과 이야기해줄수 있었으면....
아직 젊은 나이고 SRT역이 집이랑 매우매우 가까운데도 왔다갔다하는게 이렇게 진빠지는데 지방에서 오시는분들은 오죽할까 싶음

8개월 전
제로베이스원_한빈  230421한빈데뷔
사람은 한양으로 말은 제주도로..!!
8개월 전
대한민국 진짜 답없다..
8개월 전
P L A V E  💙💜💗❤️🖤
대책을 마련해야하지 않을까...
8개월 전
진짜 어쩔 수 없이 올라왔어요..
8개월 전
악순환의 고리 같아요ㅠㅠ
지방 살리려고 해도 어느 정도 유동인구가 확보되어야 문화생활 시설들이 많이 생길테고 공적으로라도 먼저 만들려고 해도 세수 확보가 되어야 하니.. 근데 젊은이들 대부분은 이미 인프라가 갖춰진 수도권으로 가려고 하고.. 그러다보니 인력풀을 넓게 가져가려면 기업 입장에서도 수도권으로 가는 게 이득이고.. 교육이나 장사나 돈이 몰리는 곳들로 따라갈 수 밖에 없으니 고소득자가 비교적 몰려있는 수도권으로 갈 수 밖에 없고ㅠㅠ 사람이 몰리니 인프라는 계속 발전하고.. 인프라가 발전하니 고소득자가 아니여도 오히려 중심지역에 있을 수 밖에 없어지고ㅠㅠ

8개월 전
맞아요...예전에 지방에 어느 문화의거리? 같은곳 방문했을때 이런저런 상가는 많았는데 유지할만큼 손님 방문이 적으니까 폐점한곳들이 많았어요
8개월 전
심각하네요
8개월 전
고죠사토루  🤍
서울민국
8개월 전
솔직히 돈 땅 건물 다 주고 대기업들부터 지방으로 이전시켜야 그때부터 지역발전 시작될 거 같아요 ...ㅋㅋ 지금 당장 이전시켜도 지역발전까지 50년은 족히 걸릴듯요
8개월 전
수도권 집중 문제 해소됐으면 좋겠어요..
부동산 문제도 수도권 집중때문이 큰것 같아요
부동산 문제때문에 저출산으로 이어지는것 같구요...악순환의 시작점이 아닐까 싶어요

8개월 전
일자리 분산이되어야하는데...
8개월 전
솔직히 우리나라는 길어도 몇시간내면 전국에서 서울 다 올수있는데 미국처럼 대도시~대도시가 8시간이상 걸리는게 아니고서야 국토균형발전은 좀 힘든거같기도,,
8개월 전
소도시들은 버리고 부산, 광주, 강릉 정도만 집중적으로 살렸으면 좋겠어요 균형발전한다고 공기업 시골에 뿌려놓는거 진짜 도움 안되요ㅠㅠ
7개월 전
(본인이 직접 삭제한 댓글입니다)
7개월 전
이대로면 수도권 빼고 다 망하는 상황인데
그나마 권역별로 한지역 집중투자해서 중~대도시 급으로 키우는게 현실적 대안이예요

7개월 전
지방 거점 도시를 집중적으로 발전시키는게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의견은 많아요! 거미줄처럼 위성도시가 발전할수 있도록요
7개월 전
근데 이거 어느정도 맞말입니다 괜히 전국토 균형발전한다고 오지로 회사옮기는것보다 핵심발전도시 정해서 그거라도 키워야죠 다 망하는거보다ㅋㅋ
7개월 전
근데 왜 강릉이에요?
6개월 전
전 강원도 사람이 아니라 제 기준 제일 유명한 곳으로 예시를 든 것 뿐이예요 만약 한다면 강원도민이 생각하기에 가장 적당한 곳으로 해야겠죠
6개월 전
백현여친  백현아사랑해🍓
땅덩어리도 좁은데 한 곳에만 몰리는거 진짜 답없는거 같아요ㅜㅜ
7개월 전
저도 제주인데.. 제대병원에서 눈 질환 더 진행되면 서울로 전원의뢰서 써준다 하셨어요. 기계 자체가 서울대병원이나 그런 급의 병원 밖에 없다며, 여기선 할 수가 없다고 하시더라구요.ㅠㅠ
7개월 전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와 자취하는데 정말 달라요 제가 살던곳은 관광으로 유명한곳임에도 불구하고 문화인프라 차이가 서울과 비교해 어마무시합니다. 문화생활이 그렇게 중요할까? 싶은데 다양한 볼거리 놀거리,재미가 있는곳이면 사람은 몰리게 되어있다고 생각해요
7개월 전
내주변만봐도 다 떠난거 체감하는데 더 현타오는건 대학생 유튜버들볼때.. 유튜버들만 지역에남고 같이 방송나오던 유튜버 친한 지인들 졸업후 다 서울로 떠나서 방송에 안나오는거보면 저기도 똑같은가보다 싶음 우리보다 큰 광역시는 나을줄알았지
7개월 전
대구에 제발 기업좀~~~~
7개월 전
저도 고향에서 계속 살고싶은데 직장도 없고 인프라가 너무 없어요ㅠㅠㅠ 지방에서 일하면서 살려면 공무원밖에 답이 없는.....
7개월 전
전에 서울사람들이 지방사람들이 자기 지역 번화가를 시내라고 부르는 걸 잘 이해 못한다고,. 서울에는 번화가가 여럿이니 시내라고 안부르고 뭐 강남 성수 이렇게 부르고 지방은 그렇지 않으니 번화가=시내 였는데요
저는 지방 도시 중 그래도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곳에 사는데 어릴 적 시내라고 부르던 곳 가면 가게가 텅 비었어요ㅋㅋㅋ거기 쇼핑센터 만든다고 지은 건물 다 공실이고 토요일이나 주말에 가도 조용합니다.
정말로 지방은 죽어가고 있어요

7개월 전
제발 정치인들아 일좀 해라!!!!!!!!!!
7개월 전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카테고리
  1 / 3   키보드
닉네임날짜조회
이슈·소식 '아홉수 우리들' 찍지 말라고 김혜윤 게시글에 댓글 단 사람들139 김규년7:2066240 3
유머·감동 남녀 길 걸을 때 차이.jpg117 리무루06.08 23:4185653 1
유머·감동 탕후루 그만팔고 국민간식 '떡꼬치' 부활시키자.twt122 까까까2:5755742 18
유머·감동 찐따 중 가장 비참한 찐따91 Twenty_Four8:5153005 5
할인·특가 장마 시작되니까 크록스 많이 구매하시는데75 306463_return1:0669881 5
원더랜드 무대인사 박보검 & 수지.jpg ms486 17:14 542 0
속보] 윤석열 대통령, 10일부터 투르크·카자흐·우즈베크 방문…김건희 여사 동행3 우물밖 여고 17:08 658 0
[단독] 명품 가방·화장품 받고 '대통령실 선물' 건넨 명신킴?! 널 사랑해 영 17:02 1019 1
아버지가 돌아가신 이유를 찾아다닌 큰딸이 밝혀낸 진실 (충격적)2 하니형 17:01 2323 4
한국인도 잘모른다는 한식 사랑을먹고자 17:01 1242 0
쿠팡에서 반품 그만하라고 연락옴.jpg6 큐랑둥이 17:00 3418 1
'엄마'에 대한 감정 딱 한 단어로 말해보는 달글 짱진스 17:00 304 0
중국의 야생판다들 탐크류즈 17:00 631 0
김계란 피셜, 교통사고로 인한 부상 정도 김밍굴 17:00 1782 0
전국 오타쿠들한테는 꿈의 학교 그 자체라는 춘천에 있는 애니 고등학교 멍ㅇ멍이 소리 17:00 403 0
PC 웹사이트 없어진 무신사 측 답변 Side to Side 17:00 1071 0
중소기업 10곳 중 6곳 "내년 최저임금, 인하·동결 필요" 풀썬이동혁 17:00 352 0
북한에서 다시 오물풍선 보내고 있다고 함 다시 태어날 17:00 394 0
최저임금위 2차회의…"최저임금 인상·적용 확대" vs "업종별 차등적용·동결" 쿵쾅맨 17:00 62 0
조국혁신당 '3국조 3특검', 이·조 현충일 회동으로 탄력 붙을까[이런정치] 헤에에이~ 17:00 85 0
[단독] 野 반발에도…정부, 내년 지역화폐 예산 전액삭감 추진 색지 17:00 10 0
[단독공개] 도종환 "김정숙 초청장 여기 있다…어딜 봐서 셀프 초청?" 311095_return 17:00 136 0
교보문고가 공개한 매달 100권 이상 팔리는 스테디셀러.jpg8 우우아아 16:55 3681 1
부모님 꼭 병원 모시고 갈 신호 백챠 16:55 1710 0
카카오톡 선물하기 데스노트 후기 색지 16:54 126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