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59년 당시 고려의 태자였던 왕정(王禎)은
몽골과의 강화 즉,
입조를 위해 당시의 칸이었던 몽케칸을 알현하러 가고 있었음.
그 런 데
남송 원정을 나가있던 몽케칸이 사진에 보이는
사천지방 조어산 쪽에서 갑자기 승하를 해버림
이렇게 칸이 갑자기 승하한 상황에서
몽케 칸의 막내 동생인
아리크부카 아리크부카는 수도인 카라코룸에 있었고
수도의 황족과 귀족들의 지지를 받게됨
그리고 몽케 칸과 다른 방향에서 남송 원정 중이었던
몽케칸의 또 다른 동생이었던 쿠빌라이는
가만 있을 수는 없으니 이렇게 북상을 하게되지
이렇게되자 고려의 태자 일행은 둘 중의 한 사람을
선택 해야되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게 됨
여기서 고려의 태자 일행은 쿠빌라이를 선택을 하는 희대의 도박을 하지
"고려는 머나먼 나라로 그 옛날 당태종이 쳐도 굴복시킬 수 없었던 나라였는데 지금 그 나라의 태자가 왔으니 이는 하늘의 뜻이다."
쿠빌라이는 이렇게 좋아했다고 함
강화도로 천도까지 하며 저항하던
나라의 태자가 자신들을 택하고 고개를 숙이러 와서
강력한 명분과 정통성을 얻게 되니 그럴 수 밖에
결국 그렇게 생긴 몽골 제국 대칸의 자리를 두고 일어난 내전은 알다시피 쿠빌라이가 승리하게 되고
이 선택은 훗날불개토풍(不改土風)
고려의 원래 풍속을 몽골식으로 바꿀필요가 없다라는 내용이 있는 세조구제(世祖舊制)로 이어지게 됨
고려는 덕분에 간섭을 받았을지언정 왕조 자체는 보존 할 수가 있었음
무려 원제국의 초대 황제인 세조 쿠빌라이의 약속이니
훗날의 황제때도 원의 고려 직할령 시도 같은건
막아버리는 단단한 방패가되었음.
만약에
당시 고려의 태자 일행이 아리크부카쪽을 택했더라면 고려, 아니 한반도의 운명은 어떻게 되었을까?
아마 지금쯤 한글은 커녕 중국어를 쓰고 있을거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