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다같이 봤으면 하는 영상이라서 가져옴
수많은 연구자들이 제시하는 새로운 패러다임
"뛰어난 창의성은 노력보다 상황에서 나온다"
실험을 통해 쉽게 예시를 들어주신다고 함
평범한 초등학교 3학년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
똑같은 문제를 줬는데도 선생님의 말의 간격과 시간, 순서의 변화에 의해서
1반은 평범한 아이들로
2반은 창의적인 아이들로
3반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혁신적인 아이들로
4반은 세계에서 가장 창조적인 아이들로 만들 수 있다
우선 1반부터
실험방법은 이러함 - 다양한 모양의 물체를 바닥에 뿌려주고 그 물체들 중 5개를 골라 새롭고 신기한 것을 만들어보라고 하는 것
화면에 나온 모양 외에도 다양한 물체를 주는데 물결 같은 건 재료로 사용하기 어려우니까 아이들은 전부 직육면체, 구형 등등 기본 모양의 물체를 고른다고 함
남학생들은 자동차, 여학생들은 집을 만드는 게 대부분
1반의 결과물은 창의적이지도, 독창적이지도 않음
다음 2반에선 다르게 함 물건을 뿌려준 후 마음에 드는 것 5개 골라~ 하고 선생님은 그냥 교실을 나가버림
아이들은 특이하고 신기한 것들을 많이 고름
다 고른 후에 다시 들어와서 이걸로 세상을 바꿀 새롭고 신기한 걸 만들어보라고 하면 애들 표정이 차게 식는다고ㅋㅋㅋㅋ
그걸 미리 말해줬어야죠~! 하며 원망하는 아이들
그렇지만 아이들은 곧 여러가지를 만들기 시작하고, 특히 이땐 친구와 자신이 고른 것이 명확하게 다르니 더이상 옆사람이 뭘 만드는지를 보지 않는다고 함
좋아하는 걸로 만드니 결과물도 훨씬 훌륭하고 창의적임
3반에 가서는 아예 물건도 주기전에 질문부터 던짐
새롭고 신기한 걸 만든다면 뭘 만들 건지 한명씩 얘기해보라고
모든 반마다 하나씩 꼭 나오는 지구를 지키는 로봇
그 외에 다양한 걸 얘기하는 아이들
자동차나 스마트폰 만든다고 하면 서로 그릇이 작다며 웃기도 한다고 함
하나씩 얘기 할 때마다 그거 너무 좋은데? 대단한데? 말해주면
뒤로 갈수록 더 획기적이고 대단한 물건을 얘기하게 됨
그리고 발표를 마친 후 전 실험과 같이 여러가지 물체를 주고 방금 네가 말한 것을 이 중 5개를 골라 만들어보라고 함
아이들은 처음엔 말도 안 된다고 말하지만
진지하게 생각하고 수많은 물체를 신중하게 만지고 들여다보면서 5개를 고르게 됨(물체를 핥고 맛보기까지 하는 아이들도 있다고)
4반 실험도 비슷함 3반과 같이 발표를 하게 하고 물체를 주고 그것을 만들기 위한 물체 5개를 고르라고 함
3반과 다른 점은 애들이 신중히 5개를 다 골랐을 때 "자~ 옆사람 물체랑 네가 고른 물체를 서로 바꿔^^ 그리고 그 물체들로 아까 네가 말한 걸 만들어봐" 라고 하는 것
아이들은 아동학대고 너무한다며 항의하지만 잠시 뒤 생각지도 못한 방법으로 물건을 만들기 시작함
비교를 위해 창의력 올림피아드에서 입상한 아이들에게도 동일한 실험을 제시해줌
단, 물체를 먼저 주고 결과를 만들어보라고 하는 1반의 방식으로
결과를 비교하면 평범한 학교의 3,4반 아이들이 창의력, 혁신, 개성, 독창성 등 모든 면에서 창의력 올림피아드 아이들을 이긴다고 함
이 실험으로 알 수 있는 것은 능력의 변수보다 상황에 의한 변수가 훨씬 크다는 것.
즉 뛰어난 창의력은 개인이 가진 고유의 능력이 아닌 상황에서 나온다
이 연구의 학자들은 창의력 있는 인재란 말을 쓰지 않는다고 함 대신 창의적인 상황에 들어갈 줄 아는 사람이란 말을 쓴다고
비슷한 예시를 하나 또 들어주심
12라고 대답하는 사람들
2라고 대답하는 사람들
A반엔 두개 던져서 12 나오면 10만원 줄게 하고 B반엔 2 나오면 10만원 줄게라고 말을 함
결국 둘 다 같은 확률인데
10만원!! 12 나와라!! 하면서 세게 던지는 A반과
2나와라^^ 하고 소극적으로 던진다는 B반
이야기를 듣고 웃는 청중들
이런 행동이 나오는 이유는 큰 결과를 만들려면 큰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는 착각 때문
큰 결과를 먼저 설정하고 그 다음에 방법을 설정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혁신적인 것을 만드려고 하다 보면 일상적인 물체도 비범하게 바라볼 수 있는 메타인지를 갖게 된다는 것
이런 혁신적인 생각을 흔히 꿈을 꾼다고 함
현실적인 목표와 달리 꿈은 실현 가능성이 떨어진다고 하지만
목표만 가지고는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인간이 될 수 없음 그러므로 그런 결과를 내고 싶다면 가능성이 단 1%더라도
친한 친구에게 얘기하면 너 미쳤구나 하는 소리를 들을 정도의 꿈이더라도
"큰 꿈늘 만들어 놓아야 해요. 그래야 그꿈을 이루기 위한 비범한 시선을 가지게 돼요"
꿈을 생각하는 방법은
밖에 나가 아무것의 방해도 받지 않고 걸으면서 내가 이루고 싶은 일들에 대해 생각할 것
그 가능성이 단 0.1%의 것일지라도.
"연구자들은 꿈에 대해 생각하며 걷는 이 과정을 두발로 사유하는 철학 과정이라고 부릅니다."
"이것이 바로 AI도 불가능한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간이 왜 지혜로운 존재인지 스스로 증명하는 여러분들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