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출 예약
호출 내역
추천 내역
신고
  1주일 보지 않기 
카카오톡 공유
주소 복사
공지가 닫혀있어요 l 열기
모바일 (밤모드 이용시)
댓글
엔톤ll조회 13568l 12
많이 스크랩된 글이에요!
나도 스크랩하기 l 카카오톡 공유

 

 

0. 들어가기 앞서서

나는 국문학과 전공을 한 것도 아니고 책을 쓰는 작가는 더더욱 아니다. 그저 성인 독서율이 1년에 1권도 되지 않는 작금의 시대에 독서라는 취미를 갖고 있는, 남들보다 독서량이 조금 더 많은 1인에 불과하다. 이 글을 쓰는 이유는 그저 독서를 처음 시작할 때 막막하기만 했던 과거의 내가 어떻게 독서에 재미를 붙이고 한 달에 3~4권씩 책을 읽게 되었는지 그 과정과 더불어 독서에 입문하기에 조금 더 쉬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때문에 어떤 책에 대한 감상이나 독서에 대한 가치관이 

진짜 독서를 사랑하고 수백권의 책을 읽은 사람들과 다를 수 있다. 때문에 반박할 만한 내용이 있다면 님들 말이 맞고. 

 

 

 

 

1.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을 받았다고 하는데 이것부터 읽으면 되는 건가? 

책방, 구립 혹은 학교 도서관을 가면 한강 작가의 책은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지금은 잘 모르겠다. 글을 쓰고 있는 나도 엊그제 수상 발표하자마자 상호대차 신청했는데 간신히 구해서)

이제 막 독서를 시작해보려는 사람들을 위한 팁 | 인스티즈


가장 대표적인 『채식주의자』부터 시작해 볼까? 해서 이 책 사고 읽기 시작하면 아마 며칠 뒤에 책꽂이에 꽂혀서 나중에 이사 갈 때쯤이나 먼지가 덮인 채로 발견될 확률이 매우 높다. 애초에 채식주의자라는 책이 입문자가 읽기에는 내용 자체가 난해할뿐더러 전체적인 분위기도 우울하고 다 읽고 나면 불쾌함만 남을 확률이 크다(애초에 다 읽는 것조차 힘들다)

독서도 게임, 운동이랑 똑같다

롤 시작한 사람이 첫날부터 다이아 티어랑 게임을 하면 기분만 잡치고 게임 삭제를 누를 것이고

런닝 처음 시작한 사람이 첫날부터 10km, 15km를 뛴다면 다음날 온몸이 쑤시고 집에 누워있다가 결국 런닝화는 신발장 구석에 박히듯이

독서도 처음에는 읽기 쉽고 재밌는 책으로 시작하는 게 좋다.

 

 

 

 

2. 만만한 게 소설이다. 그중에서도 추리나 미스터리 소설을 추천한다.

책에 재미를 느끼려면 일단 내용 자체가 흥미진진하고 몰입을 할 수 있게끔 하는 게 중요하다. 

인물들 간의 갈등이 명확하게 드러나고 단서를 통해 범인을 추리해나가며 마지막까지 독자들의 머릿속에 물음표를 띄우게 하는 책. 

추리소설만 한 게 없다.

 

 

2-1 그렇다면 웹소설도 괜찮은 건가?

순수하게 '재미'를 위한 독서라 웹소설도 좋다. 

그러나 본인이 독서를 하는 이유가 글 읽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어휘력, 사고력 등을 성장하기 위함이라면 매우 비추천한다. 더군다나 주변에 웹소설로 글을 읽기 시작하는 친구들을 보면 웹소설을 보며 다른 책을 찾아서 보기보다는 다른 웹소설을 찾아읽는 경우가 99%였다.(100%가 아닌 이유는 저걸 시작으로 다른 책들을 읽기 시작한 친구가 딱 1명 있었다. 그래서 100%라고는 못하겠다)

 

 

 

3. 두꺼운 책은 피하자

독서도 성취감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처음부터 7~800 페이지로 되어있는 책을 고른다면 그 책 하나 읽는 데에 길게는 1달 가까운 시간을 때려 박는 경우도 있다. 

내가 이 책을 읽었구나, 한 달 동안 몇 권을 읽었구나 이렇게 '수치'가 되어서 그것이 쌓이게 된다면 성취감도 생기고 조금씩 읽는 양도 늘어나게 될 거다. 

쉽게 예시를 들어보자면 온라인 RPG 게임들 보면 초반에는 레벨업을 쉽게 만들어 놓는 거랑 비슷하다. 레벨 1부터 수십시간 때려박아야 레벨업을 할 수 있다면 몇명이나 그 게임을 하겠는가?

이제 막 책을 보기 시작하는 사람들이라면 짧게는 200 페이지 미만, 길어도 350 페이지가 넘어가지 않는 책들을 보길 추천한다.

 

4. 읽은 책을 기록하자

3번에서 이어지는 이야기인데 결국 독린이들을 위해서는 책을 읽었다는 성취감이 "매우매우 중요하다". 때문에 내가 읽은 책을 기록해두는 것이 좋다. 

노트도 좋고 메모장도 좋으며 요즘에는 독서 기록 어플들도 찾아보면 꽤 있다. 여기에 독서를 한 후 느낀 점들을 딱 1줄이라도 좋으니 기록하고 이동진 아저씨처럼 별점을 남기는 것도 좋다. 중요한 건 기록이다. 시간이 지나서 내가 읽은 책들이 쌓여있는 걸 보면 꽤나 뿌듯할걸?

 

 

 

 

5. 다 됐고 그냥 입문용 책들 추천해줘

1. 홍학의 자리

이제 막 독서를 시작해보려는 사람들을 위한 팁 | 인스티즈


스릴러 전문인 정해연 작가의 대표작인 홍학의 자리이다.

이 책은 입문용으로 읽은 건 아니고 평소에 책 한 권 읽지 않던 친구가 재밌다고 호들갑을 떨며 나에게 추천을 해준 책이라서 보게 되었는데 충분히 호들갑떨만한 가치가 있는 책이었다.

글 자체가 쉽게 읽히고 몰입감도 있으며 마지막 목차에 들어가고 결말부를 펼쳤을 때 뒷통수를 한 대 맞은 듯한 느낌을 주는 추리소설이다. 정말 추천한다.

 

 

 

 

2. 아몬드

이제 막 독서를 시작해보려는 사람들을 위한 팁 | 인스티즈



추리 소설은 아니지만 양도 적당하고(나무위키 기준 308p) 내용 자체도 적당히 진지하고 무거우며 가독성 역시 좋다(애초에 청소년 문학으로 나온 책이다)

평소에 책을 끼고 살던 형인데 읽고 나서 하루만에 다 읽었다며 극찬을 한 책이었고 나 역시도 이틀 만에 다 읽은 책이었다.

음.... 재밌다. 위의 책처럼 스릴넘치는 내용과는 다른 재미가 있다.

 신체적인 문제 때문에 무서움을 느끼지 못하는 소년이 주인공인데 더 이상 자세하게 들어가면 책의 재미를 해칠수도 있으니 pass

 

 

 

 

3. 댓글부대

이제 막 독서를 시작해보려는 사람들을 위한 팁 | 인스티즈



올 초에 영화화가 되었던 책이다. 대한민국에서 흔치 않게 사회파 소설을 주로 쓰는 장강명 작가의 작품인데 나를 독서의 세계로 안내해 준 아주 의미있는 책이다. 내가 앞에 말했던 '흥미진진'하고 '몰입'하게끔 하기에 최적화된 책이라고 생각한다. 

영화와 내용이 다른 점이 많으니 책으로도 읽어보는 걸 추천한다.

 

 

 

 

4. 달러구트 꿈백화점(1, 2권)

이제 막 독서를 시작해보려는 사람들을 위한 팁 | 인스티즈


2020년대에 들어서 독서 불모지인 대한민국에서 100만부의 판매고를 기록한 신화적인 책이다.(이 책으로 작가 데뷔를 한 이미예 작가는 전세 대출을 해결했고 퇴사를 했다고 한다. 정말 부러운 인생이다)

위의 책들과는 장르가 다르다. 따뜻한 힐링물로서 어른들을 위한 동화책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좋겠다.

3번까지 피튀기고 삭막한 분위기의 책들만 보다가 이런 따뜻한 책도 한 번 읽어보는 게 나쁘지 않다고 생각해서 넣어보았다.

물론 재미있다. 

 

 

 

 

5. 악의

이제 막 독서를 시작해보려는 사람들을 위한 팁 | 인스티즈

 

아마 책을 평소에 읽지 않더라도 무라카미 하루키와 히가시노 게이고 이 두사람은 들어본 적 있을 것이다.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일본 작가인 두 사람. 그 중에 추리소설을 전문적으로 쓰는 히가시노 게이고의 대표작들 중 하나이다.

한국 도서만 추천하면 재미없지 않은가? 때문에 추천하는 책이기도 한데

단순히 외국 도서 쿼터제로 추천하는 책이 아니다.

내용적인 측면에서 정말 재미있게 본 책이고 자가복제라고 까이는 히가시노 게이고 작가의 책들 중에서 가장 독특한? 느낌의 책이었다.(나의 생각이다. 다른 책들이 더 쩔었다고 하면 할 말 없다)

말해서 뭐하겠나. 추천한다.

 

 

 

 

이 외에도 재밌게 읽은 책들이 정말 많다.

당장 장강명 작가만 하더라도 그분의 데뷔작인 '표백'은 명작이라고 표현해도 아깝지 않은 책이고 

군대에서 다들 한 번 쯤은 읽어볼만한 베르나르 베르베르 작가의 책이라던가 

무라카미 하루키 작가의 책들도 재밌고 잘 읽히는 책들이 정말 많다.

다만 그 책들은 위의 책들을 천천히 읽어보고 책의 재미를 느낀다면 그때부터 시작하는 걸 추천한다.

 

 

 

 

 

6. 마지막으로

일끝나고 퇴근하면 피곤하고 자기 시간도 없는데 책읽는 시간을 내가가 쉬운 일은 아니다

더군다나 하루가 멀다하고 수많은 정보와 자극적인 내용들이 쏟아지는 유튜브 시대에 책을 읽기란 더더욱 힘든 일이고

 그러나 내 생각에 독서를 할 시간이 없는 것은 핑계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위에 말했던 분량(약 2~300페이지)의 책들은 출퇴근 시간에만 읽더라도 1주일에 책 1권은 충분히 읽을 수 있는 시간이다. 더군다나 요즘에는 굳이 무겁게 책을 들고다닐 필요 없이 휴대폰으로 E북을 구매하여 볼수도 있는 세상인데 한강 작가의 수상으로 전국이 독서에 관심을 갖게 된 지금, 여러분들도 책 한 권 읽어보는 건 어떤가?



 
👍
3개월 전
👍
3개월 전
👍
3개월 전
홍학의 자리 입문자용 추천 인정
나끈기없는데 내용궁금해서 다읽음..ㅋㅋㅋㅋㅋㅋ

3개월 전
2222저두용
3개월 전
책 처음 읽으시면 현대 한국소설 추천 드려요 저도 몇 년 전에 읽기 시작할 때 쉬운 책부터 시작했어요 본문에 있는 아몬드는 청소년 소설에 줄 간격도 커보이고 페이지 수도 많지 않아서 금방 읽으실 거예요 저는 읽는 속도가 느린데도 하루만에 다 읽었어요
3개월 전
책이라고는 학교에서 시켜서 읽은거 빼고는 진짜 책 단 한장도 자의로 읽어본적없는 사람인디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 책을 처음으로 책을 즐겁고 재밌게 읽었어요 두꺼운데 근데 그 두꺼운게 줄어드는게 아쉬움.....왕추천
그리고 달러구트 꿈백화점 이것도 잼써요

3개월 전
감사합니당!!
3개월 전
홍학의 자리 진짜 재밌음
3개월 전
로그인 후 댓글을 달아보세요
 

혹시 지금 한국이 아니신가요!?
여행 l 외국어 l 해외거주 l 해외드라마
카테고리
  1 / 3   키보드
닉네임날짜조회
이슈·소식 소녀시대 멤버들은 결혼 안한 거 굉장히 후회할 거에요187 0:41129975 4
이슈·소식 파스타면 10kg 선물 논란.jpg148 한문철9:4564285 0
정보·기타 영양제 효과없으니 챙겨먹을 필요 없다는 저속노화 교수님221 성수국화축제0:0399092 10
유머·감동 요즘 애들은 안믿는다는 찐 옛날 고등학교 시간표100 하니형13:1133778 1
유머·감동 친딸 40년 성폭행...임신시켜 낳은 손녀도 겁탈, 징역 25년100 퓨리져16:1615665 7
코끼리는 인간을 '귀여운 강아지'라고 생각한다6 언행일치 04.01 18:44 5301 3
또 gpt 이미지 생성 자제해달라는 샘알트먼 재미좀볼 04.01 18:41 7070 0
서강준 캘빈클라인 광고 애플사이다 04.01 18:40 1024 1
질투로 시집간 친구 살해한 사건80 가나슈케이크 04.01 18:40 92766 0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신규 혜택 출시14 짱진스 04.01 18:35 42402 1
언젠가부터 나혼자산다가 재미 없어진 이유 공감이 전혀 안됨....10 30646.. 04.01 18:35 14771 1
경서, 6일 첫 자작곡 '그러니 내 옆에' 발매.."소중한 출발선" swing.. 04.01 18:31 221 0
만우절만을 1년동안 준비한것 같은 SM 남자아이돌2 김미미깅 04.01 18:27 2811 1
유튜브에서 <궁> 비하인드 언급한 윤은혜 찰떡아이스라떼 04.01 18:24 1517 0
이재명 어머니 돌아가신 직후에 쓴 글.jpg 딸기초콜륏 04.01 18:20 1279 0
송도 버블돔에서 타이틀곡 무대 최초공개 한다는 엔시티 위시 철수와미애 04.01 18:13 997 0
"화장실서 매일 쓰는 건데 어쩌나"…비누 속 꽃향기가 뇌세포 손상 시킨다19 마유 04.01 18:10 32917 0
즉석떡볶이 재료 딱 4가지만 고르기4 키토푸딩 04.01 18:10 1684 0
일본이 수백년 동안 눈독 들였던 우리나라 문화재.jpg9 30867.. 04.01 18:09 11555 9
당신이 심연을 들여다 볼때1 한 편의 너 04.01 18:08 2805 0
월4만원 헬스장 관장.jpg6 둔둔단세 04.01 18:06 14445 0
어렸을 때부터 꾸준히 과시용 독서를 한 결과20 삼전투자자 04.01 18:06 34955 13
'폭싹 속았수다' 김선호 "계절의 한 사람, 영광스러워…충섭처럼 살아갈 것”1 키토푸딩 04.01 18:04 906 1
대한항공 탑승중 Rum과 콜라가 먹고 싶었던 외국승객2 맠맠잉 04.01 18:03 8708 0
모자 쓰니까 카리나 닮았네6 95010.. 04.01 18:02 11048 0
이슈
일상
연예
드영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