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민석 오류' 찾아낸 이집트 고고학자, 이번엔 유현준에 "문제 여지 상당해" 지적[스타이슈] | 인스티즈](http://file3.instiz.net/data/file3/2025/02/11/a/9/8/a98667edca104e4e5ccd263ad997d13f.jpg)
지난 8일 곽민수 소장은 자신의 계정에 "유현준과 '공간이 만든 공간'. 어제부터 화제가 되는 유현준의 책을 읽어보았다"라며 "근사한 제목이 눈길을 끌었는데, 특히 2장 '문명을 탄생시킨 기후 변화'는 내 전공과도 관련이 있는 장이었기 때문에 특히 더 관심이 갔다. 그런데 내가 읽을 수 있었던 것은 딱 이 2장까지였다"라며 장문의 글을 게재했다.
곽 소장은 "저자는 단편적인 사실적 근거를 토대로 꽤 진취적인 논리적 도약을 시도하는 것 같았고, 그런 '도약적 사유'는 내 취향이 아니었기 때문"이라며 "그가 도약적 사유의 전제로 삼고 있는 사실적 근거들 가운데는 그 사실관계가 정확하지 않은 것들도 많았다"라고 했다.
그는 "책의 전반에 걸쳐서 그 사실을 확인한 것은 아니지만 고고학이라는 나의 전공을 토대로 확인할 수 있는 2장 부분에서는 적어도 그랬다. 이 불안불안한 문장들의 집합체를 2장 넘어서까지 읽어내는 것은 나에게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또 곽 소장은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에서는 기원전 9500년쯤부터… 그리고 중국에서는 기원전 2500년쯤부터 농경이 시작되었다" "인류 최초의 도시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만들어진 우루크라는 도시다" "농업을 통해서 수렵 채집보다 2000배 전도 높은 인구밀도를 가진 공간을 만들면서 인류는 지능상의 큰 변화를 만들게 된다" 등의 언급과 함께 유 교수의 발언을 꼬집었다.
그는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에서는 기원전 9500년경부터 그리고 중국에서는 기원전 2500년경부터 농경이 시작되었다"라는 유 교수 책의 문장에 대해 "문제의 여지가 상당한 문장이다. 최초의 농경이 확인되는 공간은 터키 동부-시리아 북부 지역이다. 이 지역은 유프라테스강 상류와도 관계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메소포타미아'라고 부르지는 않는다. 중국도 기원전 2500년보다는 훨씬 더 이전부터 농경의 흔적이 확인된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인류 최초의 도시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만들어진 우루크라는 도시다"라는 주장에 대해서도 곽 소장은 "우루크가 도시화되는 것은 우바이드 시기(기원전 5500-3700년 경) 후반부다. 그런데 반하여 차탈 회위크에서 집얍적 취락이 등장하는 것은 기원전 7500년 경의 일이다. 일반적으로 '최초의 도시'라고 하면 보통은 차탈 회위크를 언급한다. 그리고 차탈 회위크는 메소포타미아에 없다"라고 정정했다.
"농업을 통해서 수렵 채집보다 2천 배 가량 높은 인구밀도를 가진 공간을 만들면서 인류는 지능상의 큰 변화를 만들게 된다"라는 유 교수의 말에도 그는 "현생 인류, 다시 말해서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는 대략 16만-9만년 전에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그 이후로 인류는 지능의 측면에서는 조금도 변화하지 않았다. 농업이라는 생계경제는 인간의 삶을 많은 부분에서 바꿔놓았지만, 인간 지능에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았다"라고 했다.
곽 소장은 지난 2020년 tvN '설민석의 벌거벗은 세계사' 이집트 편이 오류 투성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당시 곽 소장은 "재미있게 '역사 이야기'를 한다고 사실로 확인된 것과 그냥 풍문으로 떠도는 가십거리를 섞어서 말하는 것에 큰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며 "설민석이 진행하는 이 프로그램은 그 극치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내가 자문한 내용은 잘 반영이 안 돼 있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당시 설민석은 2010년 연세대 교육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은 논문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서술에 나타난 이념 논쟁연구'의 표절률이 52%라고 밝혀졌고, 설민석은 자신의 논란을 인정하며 모든 방송에서 하차한 바 있다.
https://m.starnewskorea.com/view.html?no=2025021008420184842#_DYAD